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산업

속보

더보기

[중국 CEO] ‘희비’ 엇갈린 중국 재계총수 10인 경영 성적표(상)

기사입력 : 2017년03월20일 07:09

최종수정 : 2017년03월20일 07:09

[편집자] 이 기사는 3월 16일 오후 3시3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배상희 기자] 과거 거대한 시장과 값싼 노동력으로 대변됐던 중국의 경쟁력은 이제 중국 대표 기업과 브랜드, 그들의 기술력으로 입증된다. 스마트폰 업계 강자로 떠오른 화웨이를 비롯해, 전세계 전기차 시장의 왕좌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비야디(BYD), ‘드론의 제왕’으로 전세계 하늘을 점령한 다장(大疆∙DJI)까지. 하루가 다르게 경쟁력을 키워가는 중국 기업들은 전세계 다양한 분야에서 ‘차이나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의 탄생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기업을 이끄는 리더들의 역할이다. 지난해 일부 기업 대표들은 뛰어난 리더십을 바탕으로 '빛나는' 금자탑을 세운 반면, 일부는 뜻하지 않은 장애물에 부딪치거나 부족한 역량으로 '암울한' 경영실적을 기록했다. 중국을 대표하는 기업과 그 기업을 이끄는 리더들의 지난 한 해 경영 성적표를 상∙하로 나눠 조명해본다.

화웨이 런정페이 세계적 스마트폰 강자夢 실현

화웨이(華為) 런정페이(任正非∙74) 회장. <사진=바이두>

지난해는 화웨이(華為) 런정페이(任正非∙74) 회장이 세계 스마트폰 강자의 꿈에 한 발짝 다가선 한 해였다.

화웨이는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 분야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하며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입증했다. 지난해 화웨이가 판매한 스마트폰은 1억3900만대로 전년대비 29% 증가했다. 스마트폰 매출의 수직 상승으로 거둬들인 수익은 5200억위안(약 83조9900억원)에 달했다.

그간 중국 시장에서 최대 점유율을 기록해왔던 삼성과 애플의 부진에 따른 ‘반사효과’는 화웨이가 이처럼 놀라운 실적을 기록할 수 있었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갤럭시 노트7 폭발 사고로 이미지가 실추됐고, 애플은 여전히 높은 가격 탓에 가성비 높은 중국산 제품에 조금씩 밀려나고 있다. 여기에 한국과 미국 제품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감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런정페이 회장은 향후 3년 내 서비스 품질과 수익 면에서 애플을 뛰어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는 애플과 삼성의 뒤를 잇는 세계 3위 기업으로 평가된다. 상대를 통해 끊임없이 학습한다는 런 회장은 삼성과 애플을 비롯해 오포와 비보, 샤오미 등 국내외 경쟁업체가 그 모델이라고 밝혔다. 세계 강호들을 뛰어넘어 절대 강자의 자리를 노리는 그의 야심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기업의 성장을 위해 증시 상장도, 부동산 투자도 하지 않고 오로지 한 우물만 파는 외골수적 경영방식 또한 현재의 화웨이를 탄생시켰다는 평가다. 이 같은 경영 철학 뒤에는 런 회장이 고수하는 제1의 원칙인 공격적인 연구개발(R&D)이 뒷받침된다. 지난 2015년~2016년 회계연도 기준 전세계 2500개 기업의 R&D 투자 규모를 살펴보면, 화웨이는 83억5800만 유로로 전세계 8위, 중국 1위를 기록했다. 지난 2015년 기준 중국 25개 성(省)과 시, 자치구 전체의 R&D 비용을 합친 규모 또한 화웨이 하나에 못 미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 쥐런그룹 스위주 ‘제2의 도약 게임산업 탄탄대로’

스위주(史玉柱∙56) 쥐런(巨人)그룹 회장. <사진=바이두>

중국 IT 개발업체인 쥐런(巨人)그룹의 스위주(史玉柱∙56) 회장은 그룹 산하 게임개발 업체 쥐런왕뤄(巨人網絡∙자이언트 인터렉티브)를 통해 높은 수익을 벌어들이며, 안정적인 성공대로를 달렸다.  

쥐런그룹은 지난해 전년대비 17.60% 늘어난 23억2400만위안의 영업실적을 기록, 스 회장이 내건 실적 목표치를 달성했다. 같은 기간 벌어들인 순이익은 10억6900만위안으로 전년대비 338.15%나 증가했다. 

지난해 새롭게 출시한 온라인 게임 '징벌모바일버전'(征途手機版), '추추대작전'(球球大作戰), '가람(街籃)' 등이 성공을 거둔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지난해 9월에는 알리바바 산하 알리스포츠(阿裏體育)로부터 1억위안의 거금을 투자 받으며 추추대작전 게임과 관련한 7대 분야에서 합작을 체결했다. 

스위주 회장은 변화무쌍한 롤러코스터와 같은 인생을 살아온 인물로도 유명하다. 지난 1989년 창업 전선에 뛰어든 스 회장은 창업 6년만인 1995년 포브스 선정 중국 부호 순위 8위에까지 올라서며 중국 재계에 화려하게 등장했다. 하지만, 이후 부동산 개발에 손을 대면서 순식간에 2억5000만위안의 부채를 떠안고 파산하기에 이른다. 

그 후로부터 10년. 스 회장의 놀라운 기업가 DNA가 또 한번 발휘되기 시작한다. 영양제 나오황진(腦黃金)을 출시하며 건강보조식품 산업으로 화려하게 부활한 것. 이후 나오바이진(腦白金)과 황진다당(黃金搭檔) 제품으로 잇단 성공을 거둔 스 회장은 2004년 독자개발 게임 ‘징벌(征途)’를 출시하며 온라인게임 시장으로 진출한다. 게임은 대히트를 쳤고, 2007년 나스닥 상장에도 성공한다. 

◆ BYD 왕촨푸 ‘전기차 왕좌 굳히기, 수익 16조 금자탑’

왕촨푸(王傳福∙52) BYD 회장. <사진=바이두>

중국 전기차 산업의 폭발적 성장 속에 BYD 왕촨푸(王傳福∙52) 회장은 지난해 폭발적으로 매출을 늘리며, 업계 최강자로의 기업 입지를 확실히 굳혔다. 

BYD는 지난해 1000억위안(16조4800억원)의 수익 금자탑을 달성했다. 지난해 BYD가 달성한 영업수익은 1039억7500만위안으로 전년도(800억900만위안) 보다 29.95% 늘었다. 또 순이익은 2015년 말 28억2300만위안에서 78.63% 늘어난 50억4400만위안에 달했다.

지난 10년간 전기차 산업에만 파고든 BYD는 동종 업계에서 대적할 경쟁상대도 없는 무적강자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BYD는 지난해 약 7.9GWh의 전기차 배터리를 출하했다. 이는 전년대비 152.4% 성장한 수치다. 반면, 2015년 1위를 기록한 파나소닉(약 7.3GWh)은 BYD에 밀려 2위에 그쳤다. 파나소닉 역시 지난해 37.9%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BYD의 성장속도를 따라잡지는 못했다. 

지난 1995년 불과 29세의 나이에 20명 정도의 직원과 함께 BYD를 설립한 왕촨푸 회장은 22년만에 직원 18만명을 거느리는 세계 1위 전기차 회사를 일궈냈다. 본래 BYD는 충전용 휴대전화 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였다. 당시 중국 내 휴대전화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배터리 수요 또한 늘어날 것이라는 그의 전략이 맞아떨어지며 업계에서 입지를 굳히기 시작한다. 이후 2003년 자동차 회사로의 변신을 시도한 BYD는 현재 매출의 절반 이상을 자동차를 통해 창출하고 있다.

◆ 순펑 왕웨이 ‘성공적 A주 입성, 최고 몸값 택배왕으로’

왕웨이(王衛∙47) 순펑(順豊)익스프레스 대표. <사진=바이두>

중국 최대 민영택배 회사 순펑(順豊)익스프레스의 왕웨이(王衛∙47) 회장은 지난해 성공적인 기업 상장과 함께, 천문학적으로 몸값을 올리며 새로운 중국 부호 반열로 올라섰다.

지난해 순펑의 택배업무 거래량은 25억8000만건으로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했다. 벌어들인 영업수익과 순이익은 574억8300만위안과 41억8000만위안으로 각각 전년동기대비 19.5%, 279.55% 늘었다. 

순펑익스프레스는 지난달 24일 코드명 순펑홀딩스(順豐控股, 002352 SZ)로 상장을 추진, 선전증시에 성공적으로 입성했다. 상장 첫 날 시가총액 2300억위안을 돌파한 순펑은 단숨에 선전증시 상장사 중 시총 1위 기업으로 올라섰다. 

2017년 후룬 중국 부호순위에서 왕 회장의 자산은 1860억위안으로, 왕젠린(王健林) 완다그룹 회장과 마윈 회장에 이어 부호 순위 3위에 올라섰다. 아시아 부호 리카싱(李嘉誠,1750억위안) 회장은 왕 회장에 밀려 4위에 그쳤다.

왕 회장과 택배업의 인연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 시작됐다. 친구와 함께 오토바이를 타고 홍콩과 광둥(廣東) 선전(深圳) 지역을 오가며, 소포를 무료로 운반해주는 택배기사로 근무한 경험이 현재의 순펑 제국을 만들어냈다. 당시 두 지역 기업들로부터 입소문을 타면서 업무량이 늘어나자 1993년 순펑택배 회사를 차리게 된 것. 창업 당시 6명이었던 직원은 현재 40만명으로 늘었고, 왕웨이는 중국 택배 업계를 주무르는 택배의 제왕으로 올라섰다.  

왕 회장에게는 전자상거래 시대가 낳은 ‘제2의 마윈(馬雲)’이라는 평가가 따라붙는다. 중국 전자상거래 산업과 함께 택배산업이 폭발적 성장을 이뤘고, 그 과정에서 마윈의 뒤를 잇는 왕웨이라는 재계 거물이 탄생한 것이다. 

◆ DJI 왕타오 ‘드론산업 저공비행 속 승승장구’

왕타오(汪滔∙38) DJI 대표. <사진=바이두>

중국 민영 드론업체 DJI의 왕타오(汪滔∙38) 대표는 지난해 전세계적인 드론산업 불황 속에서도 세계 1위의 자리를 지켜냈다. 

DJI는 지난해 100억위안 규모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 중 80억위안은 해외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여전한 DJI의 위상을 입증한 셈이다. 

지난해는 전세계적으로 드론 산업의 성장이 둔화된 한 해 였다. 이미 ‘레드오션’이 돼 버린 드론 산업에 대한 투자 열기가 예전같지 않은 상황에서, 자금부족과 경쟁심화 등으로 일부 드론업체가 존폐 위기를 겪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세계 3위의 프랑스 드론 전문업체 패롯(Parrot)은 매출 부진으로 인원의 3분의 1을 감축하는 대대적 구조조정에 나섰고, 떠오르는 샌프란시스코 소재 드론 스타트업 릴리(Lily)로보틱스는 기술력 난관에 부딪쳐 폐업을 선언했다.

DJI 또한 경쟁 심화 속에 전세계 시장 점유율이 과거 70%에서 지난해 3분기 52%로 축소됐다. 점유율 축소는 4분기 만에 처음이다. 현재 전세계 민간 드론 기업의 출하량 순위를 살펴보면 DJI, 중국 드론 업체 제로테크(零度智控), 프랑스 드론 전문업체 패롯(Parrot) 순이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부터 제로테크가 매출을 늘리며 시장 점유율을 24.3%로 확대하면서, 상대적으로 DJI의 점유율은 감소했다.

지난 2006년 중국 선전에서 탄생한 스타트업 DJI를 세계 1위의 기업으로 성장시킨 왕타오 대표는 홍콩과기대 전자 컴퓨터 공학과 출신이다. 대학교 시절 졸업 과제로 원격조종 헬기 제어시스템을 선택하면서, 드론과의 인연은 시작됐다. 로봇기술학과의 러쩌상(李澤湘) 교수로부터 투자를 받고 학교 기숙사에서 탄생시킨 것이 DJI다.

DJI는 2013년 네 개의 프로펠러와 카메라가 달린 드론 ‘팬텀(Phantom)’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성공가도를 달리게 된다. 당시 1000달러짜리 팬덤을 팔아 남긴 수익은 1억3000만달러로, 2012년 전체 판매액의 3배가 넘는 수익을 달성한다. 지난 2015년 12월에는 지능적으로 농약을 살포하며 농작물을 보호하는 드론 MG-1을 출시, 농업용 드론 시장으로의 진출에도 나섰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사진
최정, 500홈런…한화 12연승 끝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가 7연승 중이던 NC에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간판타자 최정의 KBO리그 첫 통산 500홈런을 자축했다. SSG는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3으로 승리했다. 11일 KIA와 더블헤더부터 3연승을 달린 SSG는 NC를 제치고 4위 삼성과 승차 없는 5위에 올라섰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 최정이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회말 500호 홈런을 날린 뒤 포즈를 취했다. [사진=SSG]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최정은 0-2로 뒤진 6회말 2사 1루에서 NC 선발 라일리 톰슨의 6구째 시속 135㎞ 슬라이더를 잡아당겨 왼쪽 펜스를 넘기는 시즌 5호 110m 동점 투런포를 쐈다. 500홈런이기에 앞서 삼진 10개를 잡으며 무실점으로 호투하던 톰슨에게 일격을 가한 귀중한 한 방이었다. SSG는 곧 이은 7회초 서재철에게 적시타를 허용해 2-3으로 뒤졌으나 8회말 대거 4점을 뽑으며 역전에 성공했다. 선두 박성한의 볼넷과 최정의 내야 안타로 만든 무사 1, 2루에서 한유섬의 2루타로 3-3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라이언 맥브룸이 고의볼넷을 얻어 만든 무사 만루에서 최준우의 역전 2타점, 1사 후 정준재의 쐐기 1타점 적시타로 점수 차를 벌렸다. 류현진. [사진=한화] 한화는 두산과 대전 홈경기에서 연장 11회 접전 끝에 3-4로 졌다. 12연승이 중단된 한화는 이날 4연승한 LG에 공동 선두를 허용했다. 두산은 3-3으로 맞선 연장 11회초 강승호의 볼넷 후 대주자로 나간 전다민을 1루에 두고, '1할 타자' 임종성이 좌익선상에 떨어지는 2루타를 날려 귀중한 결승점을 뽑았다. 반면 한화 선발 류현진은 6이닝을 6탈삼진 6안타 1실점으로 막았지만 팀에 승리를 안기지 못했다. 한화는 1-1로 맞선 6회말 무사 만루에서 노시환이 투수 앞 병살타로 물러난 게 뼈아팠다. 연장 11회말에는 노시환의 안타 후 대주자로 나간 이상혁이 채은성의 삼진 때 2루 도루에 실패했다. 이날 두 팀은 한화가 8명, 두산이 6명의 필승조 투수를 모두 투입하는 총력전을 펼쳤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삼성 르윈 디아즈가 13일 kt와 대구 홈경기에서 5회시즌 16호 투런홈런을 날린 뒤 다이아몬드를 돌고 있다. [사진=삼성]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수석·투수·타격 코치를 교체한 삼성은 kt와 포항 홈경기에서 접전 끝에 5-3으로 승리, 최근 8연패에서 탈출했다. 삼성은 2회말 1사 만루에서 구자욱이 2타점 중전안타로 2-0을 만들었고, 5회말에는 홈런 선두 르윈 디아즈가 시즌 16호 우월 투런홈런을 날려 4-0으로 달아났다. 삼성 선발 이승현은 5이닝을 5안타 무실점으로 막아 시즌 5연패 뒤 첫 승을 신고했다. 반면 kt는 6연패에 빠졌다. 오스틴 딘. [사진 = LG] 잠실에선 LG가 키움을 9-6으로 따돌리고 4연승을 달렸다. 초반 6점 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6-6으로 동점을 내준 LG는 7회말 오스틴 딘의 솔로 홈런으로 다시 리드를 잡았다. 오스틴은 1회에도 선제 솔로홈런을 날려 한 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LG는 8회말에는 홍창기와 문성주의 연속 안타로 2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그러나 LG는 이날 시즌 첫 홈런을 신고하기도 한 붙박이 톱타자 홍창기가 9회초 수비 중 다리를 크게 다쳐 웃을 수 없는 하루가 됐다. 김도영. [사진 = KIA] 광주에선 KIA가 김도영의 결승 2루타를 앞세워 롯데를 4-1로 꺾었다. KIA는 5회말 한승택과 박찬호의 안타로 만든 2사 1,2루에서 김도영이 좌중간 2루타를 터뜨렸고, 최형우가 중전 적시타를 날려 3-0을 만들었다. 8회말에는 김도영의 좌전안타와 볼넷 2개로 만든 무사 만루에서 변우혁의 유격수 병살타 때 1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KIA 선발 김도현은 5.1이닝을 4안타 1실점(비자책)으로 막아 2승(2패)를 올렸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3 22:5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