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 내년 정보보호 10대 이슈 발표
ICT 신사업 성장에 따른 사이버보안 중요성 부각
국방, 산업, 실생활 등과 연관, 보안 경각심 요구
[뉴스핌=정광연 기자] ICT 산업과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맞춰 사이버보안 분야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 차원의 정보보안 강화 및 정책적 지원 움직임이 활발하다. 국방은 물론, 산업 전반과 국민 생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쳐 정부와 기관, 기업 등이 함께하는 종합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국내 정보보호 현황을 진단하고 미래 핵심가치를 발굴·정립을 목적으로 문헌조사, 빅테이터 조사, 전문가 평가 및 설문조사 등을 거쳐 선정된 2017년 정보보호 10대 이슈를 7일 발표했다.
선정된 10대 이슈는 ▲강대국간 사이버 공방 심화 ▲사이버위협정보 공유·협력 확대 ▲랜섬웨어 ▲빅데이터·AI·클라우드 활용 보안 ▲블록체인 ▲바이오인증 ▲사물인터넷 ▲카넥티드 카 ▲잊힐권리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의 조화 등이다. 국방에서 산업, 개인정보까지 광범위한 범위를 아우르는 현안들이다.
사이버국방의 경우 러시아와 미국, 중국과 미국 등 강대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 역시 북한과 지속적인 마찰을 겪고 있다. 지난 5월 주요 방산업체 해킹과 9월 군 사이버사령부 해킹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기존 국가간 정치, 경제적 갈등이 사이버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른 사이버보안을 위한 국내외 협력과 공조도 확산 추세다. 미국은 2015년 국가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센터를 설립해 정부와 기업, 보안업체 사이의 공유체계를 강화했으며 이스라엘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
![]() |
| <사진=한국인터넷진흥원> |
2014년 사이버위협 정보분석 및 공유시스템을 구축한 우리나라는 올해 ‘글로벌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도 출범시켰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있고 북한의 해킹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이버국방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ICT 신산업 분야에서도 사이버보안의 중요도는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빅테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보다 정확하고 자동화된 사이버보안 구축이 이뤄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 ‘빌려 쓰는 보안서비스’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데이터 위·변조를 어렵게 하는 분산정장기술 블록체인과 적용 분야가 넓어지고 있는 바이오인증도 눈길을 끈다.
연결 디바이스의 수가 2015년 46억개에서 오는 2021년 160억개에 이를 전망인 사물인터넷은 실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기기가 늘면서 보안취약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10월 미국에서 악성코드에 감연된 사물인터넷 기기가 아마존, 트위터, 넷플릭스 등 1200여개 사이트를 공격해 2시간 가까이 마비된 사례가 있다. 국내에서는 2018년 차세대 통신인 5G 상용화 이후 사물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돼 보안 강화가 필수적이다. 커넥티드카 역시 해킹 등의 외부 침입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보안 주의가 요구된다.
사용자 보호와 인권과 관련되 보안 경각심도 높아지고 있다.
PC와 스마트폰에 저장된 파일을 암호화해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는 올해 상반기에만 2019건이 발생, 전년대비 3.7배나 급증했다. 전 세계적으로도 랜셈웨어 피해액은 연간 10억 달러, 국내 피해액도 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응 보안 기술 개발과 강력한 법적 대응 등이 관건이다.
또한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잊힐권리의 정착과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될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의 조화 역시 내년 ICT 시장의 화두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조윤홍 KISA 정보보호산업본부장은 “보안이 내재화된 산업과 생활이야말로 국가 경쟁력과 삶의 질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보안이 4차 산업혁명의 플랫폼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