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명견만리'에서는 청년덕후에 대해 소개한다. <사진=KBS> |
[뉴스핌=이지은 기자] ‘명견만리’에서 청년 덕후를 통해 미래산업을 알아본다.
2일 방송되는 KBS 2TV ‘명견만리’에서는 ‘정답사회-청년덕후가 미래다!’ 특집이 전파를 탄다.
최근 ‘덕후’들은 한 분야에 전문성을 나타내며 학위 없는 전문가라고 불리기도 한다. 과거 하위문화를 상징하던 ‘덕후’문화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며 신성장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정지훈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미래고등교육연구소장이 출연해 미래사회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된 덕후에 대해 함께 고민한다.
UN 지속 가능위원회가 진로나 인생의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있는가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는 158개국 중 122위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인생을 살지 못하고 있는 것.
‘종이비행기 덕후’ 이정욱 씨는 종이비행기를 잘 날리기 위해 15년 동안 2만 개 이상의 비행기를 접었다. 그 결과, 종이를 만져보는 것만으로 종이의 무게와 재질까지 구분할 수 있게 됐다.
이정욱은 “내가 좋아하는 걸 하면서 밥 먹고 살아야지 하는 생각으로 버텼고 15년 이상을 버텨서 이제야 저에게 기회가 온 거죠”라고 말했다.
특히 ‘오타쿠’의 시작이었던 일본에서도 ‘오타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일본 내 오타쿠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며 2019년 17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는 오타쿠를 하나의 국가 브랜드로 내세우며 쿨재팬 전략을 세우고, 많은 일본 기업들이 이에 동참하고 있다.
쿨 재팬 펀드 대표 노부유키 오타는 “세계가 인정하고 좋아하는 일본 문화가 ‘오타쿠’ 문화에요. 오타쿠 요소에서 탄생하는 문화, 그리고 상품 그런 것들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부분이에요”라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경우, 정부가 약 7조 2천억 원의 창업투자 기금을 조성하며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지원을 통해 청년들은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도전한다.
청년들의 도전을 지원하는 사회 시스템과 응원의 분위기 속에서 중국의 젊은이들은 졸업 후 취업에만 몰리는 우리나라 청년들과는 달리 학업, 취업, 창업 중 자신이 하고 싶은 진로를 설정한다.
IT 기술의 발전을 통해 ‘덕후’들은 능동적인 생산자로 거듭나고 있다. 미국 뉴욕에서 열린 월드 메이커 페어에서는 ‘덕후’들의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메이커페어’를 통해 능동적 생산자로 거듭나고 있는 ‘덕후’들의 혁신적인 모습을 통해 ‘청년 덕후’가 어떻게 정답사회의 주역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한편 ‘명견만리’는 2일 밤 10시에 방송된다.
[뉴스핌 Newspim] 이지은 기자 (alice0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