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종목

속보

더보기

알리바바 8조원 쏜 중국증시 9대 A주, 수익은 '게걸음'

기사입력 : 2016년11월22일 17:40

최종수정 : 2016년11월22일 17:4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사업 다각화 위해 A주 상장사 지분매입 지속
알리바바 효과에도 일부 상장사 투자금 손실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22일 오전 11시0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배상희 기자] 중국 대표 IT 기업 알리바바가 중국본토증시(A주) 상장사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며 알리바바 제국 진영(陣營)의 공고화 및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다만, 알리바바 후광 효과에도 불구, 일부 A주 상장사가 부진함을 보이면서 이렇다할 투자 수익을 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증권정보 제공업체 롄화차이징(蓮花財經)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알리바바는 쑤닝커머스(蘇寧雲商 002024.SZ), 화이브라더스(華誼兄弟 300027.SZ), 화수미디어(華數傳媒 000156.SZ), 바이윈산(白雲山 600332.SH), 인라이트미디어(光線傳媒 300251.SZ), 다후구펀(大湖股份 600257.SH), 헝성전자(恒生電子 600570.SH), 스지정보(石基信息 002153.SZ) 등 다양한 분야의 A주 상장사 지분을 사들였다. 

여기에 최근 알리바바는 21억5000만 위안을 투자해 싼장쇼핑(三江购物 601116.SH) 지분 32%를 사들이며, 알리바바계열(阿裏系) A주 상장사를 9개로 늘렸다. 싼장쇼핑은 중국 저장(浙江)성의 최대 슈퍼마켓 체인으로 현재 저장성에만 16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52억2000만 위안의 시가총액을 자랑한다. 

알리바바의 보유지분 비율을 살펴보면 헝성전자(20%)와 화수미디어(20%)가 가장 많고, 이어 쑤닝커머스(19.99%)의 순이다. 그 중 헝성전자는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이 최대 주주로 올라서 있다. 

알리바바가 보유한 이들 9개 상장사의 지분을 시가총액으로 환산하면, 약 466억1700만 위안(약 7조9500억원)으로 추산된다. 그 중 쑤닝커머스에 대한 보유지분의 시가총액은 208억9900만 위안으로 최고가를 자랑한다. 알리바바가 이들 9개 기업에 투자한 자금은 470억2500만 위안(약 8조원)이다. 이는 아직까지 알리바바가 이들 9개 A주 상장사에 단행한 투자로 벌어들인 수익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리바바가 가장 많이 투자한 종목은 미디어 분야로 9개 기업 중 화이브라더스, 화수미디어, 인라이트미디어 등 3개주가 미디어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바바 산하 영화제작사인 알리바바픽처스(阿裏影業 01060.HK) 또한 홍콩미디어 그룹 ‘차이나비전’의 전신으로 알려져있다. 알리바바는 지난 2014년 3월 62억4400만 홍콩달러를 투자해 차이나비전의 지분 59.32%를 사들였으며, 이후 알리바바픽처스로 이름을 바꾸고 본격적으로 영화사업에 뛰어든다.

오프라인 소매업체 분야 또한 알리바바의 최대 투자처 중 하나다. 알리바바는 싼장쇼핑과 쑤닝커머스 외에도, A주는 아니지만 중국 백화점체인 업체 인타임리테일(銀泰商業 01833.HK)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그 중 인타임리테일에는 총 53억7000만 홍콩달러를 투자해 9.9%의 지분과 37억1000만 홍콩달러 규모의 전환사채(CB, 정해진 가격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를 확보한 상태다. 향후 3년간 알리바바는 전환사채를 인타임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전환이 이뤄질 경우 알리바바가 보유한 인타임리테일의 주식은 25%를 넘어설 전망이다.  

알리바바가 보유한 A주 상장사 수익률을 따져보면, 총 6개 상장사가 수익을, 나머지 2개 상장사가 손실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수익률을 보이는 상장사는 마윈 회장이 최대주주로 올라서 있는 헝성전자다. 2014년 마윈 회장이 헝성전자의 지분을 인수 당시 투자한 금액은 33억 위안이었으나, 현재 헝성전자의 시가총액은 74억8900만 위안에 달한다. 

반면, 최대 투자액인 282억3300만 위안을 쏟아부은 쑤닝커머스의 경우는 오히려 손실을 보고 있다. 응모 당시 가격은 1주당 15.17위안이었으나, 현재 쑤닝커머스는 1주당 11.23위안에 거래되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재까지 약 74억 위안의 손실을 보고 있으며, 남아있는 알리바바의 투자금은 약 208억9900만 위안 정도로 추산된다. 

이들 기업은 알리바바가 선택한 기업이라는 점 만으로도 투자자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아왔다. 실례로 지난 2014년 4월과 2015년 8월 알리바바로부터 각각 65억 위안과 282억3300만 위안의 투자를 이끌어낸 화수미디어와 쑤닝커머스의 경우 당시 주가폭등으로 각각 3번과 5번의 거래중단 조치가 이뤄졌을 정도였다. 하지만, 이후 투자 열기가 시들해지면서 양사의 주가가 하락세로 진입, 알리바바는 현재까지 두 기업에 대한 투자액의 20%에 달하는 손실을 입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1달러 테더 '5700원·1600원' 제각각 거래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대표적인 달러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 가격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크게 널뛰었다. 한때 가상자산 시장이 흔들리자 1600원에서 5700원까지 오가며 심한 변동성을 나타낸 것이다. 달러와 1:1 연동돼 '안전성'을 강조했지만 정작 국내 투자자들에게는 불안정적인 자산이 된 셈이다. 14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전 6시쯤 업비트에서 거래되는 테더 가격이 1655원까지 치솟았다. 당시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이 급락했고 이에 따라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에 수요가 몰린 여파다. 빗썸에서 거래된 테더 시세창. [사진= 빗썸 갈무리] 테더는 달러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이다. 이때 달러/원 환율은 1436원이었지만 김치프리미엄이 10% 이상 붙으면서 테더 가격이 환율 이상으로 벌어졌다. 김치프리미엄은 국내와 해외거래소 간 가상자산 가격 차이를 의미한다. 같은 시각 빗썸에서는 테더 가격이 5755원까지 오르는 이상 급등 현상도 발생했다. 달러/원 환율을 상회한 것은 물론 업비트를 비롯한 다른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거래 가격 대비 3배 이상 뛰었다. 특히 빗썸의 경우 렌딩(코인 대여) 서비스 청산 과정에서 이 같은 급등 현상이 발생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빗썸의 렌딩서비스는 대여한 메이저 자산의 시세가 급등락해 자동상환 레벨에 도달하면 모두 시장가로 매도되는 구조다. 이후 확보된 원화로 대여했던 가상자산을 시장가로 매수해 상환하게 된다. 청산 과정에서 시장가 매수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테더 가격을 계속 밀어 올렸다는 관측이다. 테더 가격이 급격히 뛰면서 빗썸에서 테더를 대여한 일부 투자자들은 예기치 못한 청산 사태를 겪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 빗썸은 상환 매매 발생 시 시세 왜곡 상태를 방지하는 '도미노 청산 방지 시스템'의 작동 여부 등을 점검하고 후속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통상 달러 등 실물자산과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혀왔다. 테더 또한 국내 시장에서 달러 자산의 저장 및 거래 수단으로 활용도가 높게 평가됐다. 그런데 이번 변동성 장세에서 국내 거래소의 테더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급등, 사실상 '스테이블코인=안전성'이라는 개념이 깨진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테더(USDT) 는 스테이블코인이기 때문에 다른 코인 가격이 변하더라도 가치는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테더 수요가 높은 국내 하락장에는 1달러보다 가격이 높아지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며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파생상품을 사용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거래 청산을 막기 위해 추가 테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의 주의도 요구된다. 국내시장에서 테더를 포함한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공급 대비 수요가 순간적으로 크게 앞서면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이 또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관련해 이날 기준 빗썸 내 대여금액 1위 종목은 테더로 대여 금액은 933억원이 달한다. 이는 2위인 비트코인 대여금액(218억원)의 4배 수준이다. 코인 대여 서비스 상위 자산인만큼 변동성 위기 시 청산 위험도 높게 평가된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해외 거래소에서 가상자산 급등락이 발생할 때 국내 거래소에서 해당 가격변동이 100% 반영되지 않아 김치프리미엄 또는 역프리미엄이 발생하고 여기에는 테더도 포함된다"며 "이번 폭락 사태의 경우 국내 거래소의 원화 거래가격이 폭락을 전부 반영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김치프리미엄이 붙게 됐다"고 설명했다. romeok@newspim.com 2025-10-14 06:00
사진
금 온스당 4100달러 돌파…유가 상승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미국과 중국 간 여전한 무역 갈등 우려와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 13일(현지시간) 금값이 온스당 4100달러를 돌파했다. 국제유가는 반등했는데 백악관이 중국과의 긴장 완화를 위한 합의 가능성을 시사한 데 주목하며 배럴당 60달러 아래에 머물렀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3.3% 뛴 온스당 4,133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은 장중 한때 4,116.77달러까지 올랐다가 한국시간 기준 14일 오전 2시 47분 기준 2.2% 오른 온스당 4,106.48달러를 기록했다. 금괴 [사진=로이터 뉴스핌]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한 중국에 오는 11월 1일부터 추가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고, 이달 말 한국 경주에서 예정됐던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만남에 대해서도 "만날 이유가 없는 것 같다"며 부정적으로 발언해 긴장감을 키웠다. 이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을 만날 것으로 낙관하면서 갈등 완화를 시사하긴 했으나,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완전히 떨치지는 못했다. 금 가격은 올해 들어 56% 상승하며 지난주 처음으로 4,000달러 선을 돌파했다. 이번 상승세는 지정학적·경제적 불확실성,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 중앙은행들의 꾸준한 금 매입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블루라인퓨처스의 최고시장전략가 필립 스트리블은 "금 가격의 상승 모멘텀은 충분히 이어질 수 있다"며 "2026년 말까지 5,0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은행들의 꾸준한 매입, 탄탄한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유입, 미·중 무역 긴장, 그리고 낮은 미국 금리 전망이 금 시장의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트레이더들은 10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97%, 12월 인하 확률을 100%로 반영하고 있다. 금은 이자 수익이 없는 자산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금리 환경에서 강세를 보인다. 애나 폴슨 미국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전국 경제학회(NABE) 연례회의에서 올해 2차례 추가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뱅크오브아메리카와 소시에테제네랄 애널리스트들은 금 가격이 2026년에 5,0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스탠다드차타드는 내년 금 가격 평균 전망치를 4,488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상품 리서치 글로벌 헤드 수키 쿠퍼는 "이번 랠리는 지속될 여력이 있다고 보지만, 장기 상승세를 위해서는 단기 조정이 오히려 건강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물 은 가격은 3.1% 오른 온스당 51.82달러를 기록했으며, 장중 한때 52.12달러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과 마찬가지로 은 가격도 금리 인하 기대와 공급 부족 등 요인으로 지지를 받고 있다. 유가도 미중 관련 소식을 지켜보며 반등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2월물은 배럴당 59센트(0.9%) 오른 63.32달러에 마감했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은 59센트(1%) 상승한 59.4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중국과의 관계는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11월 1일로 예정된 관세 부과 계획은 여전히 유지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본토 깊숙이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토마호크 미사일'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회원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 회원국으로부터의 원유 공급 차질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가 상승 재료가 됐다. DBS의 애널리스트 수브로 사카르는 "현재 시장의 매도세는 워싱턴과 베이징이 협상 의지를 보이면서 진정된 모습"이라며 "단기적 유가 흐름은 결국 무역 협상의 결과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OPEC은 이날 월간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의 전 세계 석유 수요 증가 전망치를 기존 수준으로 유지했다. OPEC은 보고서에서, OPEC+ 산유국들의 증산이 이어지면서 2026년 석유 공급 부족 규모가 이전 예상보다 훨씬 작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가 이뤄지면서, 전 세계 원유의 3분의 1이 생산되는 중동 지역에서 전투가 재점화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완화됐다. 이날 하마스는 가자지구에 남아 있던 마지막 생존 이스라엘 인질들을 석방했다. kwonjiun@newspim.com 2025-10-14 05:5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