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 제재… "국가안보 강화 목적"
견조한 실적에도 하락… "무역이 모든 걸 덮었다"
AI·희토류 관련주 엇갈려… 엔비디아↓ AMD↑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 개장 전 주요 주가 지수 선물 가격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중국발 무역 긴장 재점화에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주요 지수는 전날의 상승분을 반납하고 있다.
미 동부 시간 오전 9시 20분(한국시간 오후 10시 2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전장 대비 58.00포인트(0.87%) 내린 6636.75에 거래됐다. 나스닥100 선물은 274.75포인트(1.10%) 밀린 2만4807.25를 가리키고 있다. 다우 선물은 355.00포인트(0.77%) 하락한 4만5943.00을 가리켰다.
하락세는 최근 강세장을 이끌었던 인공지능(AI) 관련주가 중심이었다. 엔비디아(NASDAQ:NVDA)는 1% 넘게 하락했고, 테슬라(TSLA)와 오라클(ORCL) 은 각각 2.4%, 1.8% 내렸다.
![]() |
반도체 등에 대한 미중 갈등이 격화하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과 중국 사이의 '균형 전략'을 버려야 한다는 압박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사진은 반도체와 미국, 중국 국기 일러스트 이미지.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중국,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 제재… "국가안보 강화 목적"
중국 정부가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면서 시장 불안이 커졌다. 이번 조치에 따라 중국 내 기업과 개인은 해당 회사들과 거래할 수 없게 되며, 중국 정부는 이를 "국가안보 강화를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중국산 수입품에 100%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한 이후 양국 간 무역 긴장은 빠르게 고조됐다. 이 여파로 지난 금요일 다우지수는 800포인트 이상 급락, S&P500은 4월 10일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주말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중국 걱정하지 말라, 다 잘 될 것"이라고 올리면서 하루 뒤 증시는 급반등했다. 월요일 S&P500과 다우지수는 각각 1% 이상 오르며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끊었다.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의 울리케 호프만 부차르디 글로벌 주식 책임자는 "무역정책이 올해 미 금융시장의 핵심 변수"라며 "트럼프-시진핑 협상 역사상, 긴장이 고조된 뒤에는 전략적 휴전이 뒤따른 경우가 많았다. 이번에도 희토류와 해운요금 문제가 협상의 돌파구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견조한 실적에도 하락… "무역이 모든 걸 덮었다"
이날 하락은 대체로 양호한 3분기 실적이 발표됐음에도 나타났다. ▲존슨앤드존슨(JNJ) ▲제이피모건체이스(JPM) ▲웰스파고(WFC) 등이 모두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공개했고, ▲골드만삭스(GS) 역시 예상보다 높은 순이익을 기록했다.
그러나 중국이 해운사들에 대한 항만 추가요금(port fees) 을 부과하며 무역마찰을 확대하자, 다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화됐고 웰스파고를 제외한 이들 기업의 주가는 약세 흐름이다. 미국과 중국은 이날부터 원유·완구 등 주요 품목을 운송하는 해운업체에 상호 항만 요금 부과를 시작했다.
캐피털닷컴의 다니엘라 해손 수석시장분석가는 "투자자들은 여전히 'TACO(Trump Always Chickens Out, 트럼프는 결국 물러난다)' 시나리오를 기대하고 있지만, 이번에는 추가 관세 가능성이 11월 이전 현실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시장 상단을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
AMD [사진=블룸버그] |
◆ AI·희토류 관련주 엇갈려… 엔비디아↓ AMD↑
AI 관련 대형주들은 약세를 보인 반면,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 는 장전거래에서 2% 상승했다.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 가 2026년 하반기부터 AMD의 최신형 인공지능용 GPU 'Instinct MI450' 5만 개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오라클은 1% 이상 하락했지만, AMD는 반대로 상승세를 보였다.
희토류 관련주는 전날 급등세를 이어갔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이후 미국 정부가 국내 공급망 투자 확대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된 영향이다. ▲크리티컬 메탈스(CRML)는 28% 폭등했으며, ▲USA 레어어스(USAR)는 9.1% ▲엠피 머티리얼즈(MP)는 5.8% 각각 올랐다.
반면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빅테크 주식은 일제히 하락했다. ▲알리바바(BABA)▲징둥닷컴(JD)▲핀둬둬(PDD)는 주가가 2~3%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무역 갈등이 트럼프 대통령의 '100% 관세' 경고 이후 다시 본격화되는 양상이라며, "단기적 반등보다는 변동성 확대 국면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