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병대와 민군작전 전담부대 편성…민간자산 '덱 캐리어' 동원
[뉴스핌=이영태 기자] 한국 해군과 해병대가 미국 해병대와 함께 전시에 남쪽으로 대거 유입될 것으로 보이는 북한 피난민을 수용하고 지원하는 훈련을 처음 실시했다.
![]() |
한국과 미국 해병대가 '2016년 호국 합동상륙훈련'의 일환으로 경북 경주 일대에서 공중돌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사진=해병대/뉴시스> |
해병대는 지난달 29일부터 오는 6일까지 포항 일대에서 진행되는 '2016년 호국 합동상륙훈련'의 일환으로 북한 피난민 수용과 지원 훈련을 최초로 실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훈련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난민 수용과 지원을 한 경험이 있는 군인 등 130여 명의 미군 민·군 작전 전문요원들도 참가했다. 해군과 해병대는 북한 피난민 수용, 관리, 의료지원 등 민군작전을 위한 전담부대를 최초로 편성해 운용했다.
민군작전 부대는 한·미 해병대가 상륙한 북한내 작전지역 전방과 후방에서 작전지역으로 유입되는 피난민을 수용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훈련을 실시했다. 천막형 이동전개 의무시설을 활용해 환자 분류부터 일반환자 치료, 긴급환자 응급수술 등 환자처리 절차도 숙달했다.
해병대 관계자는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국 해병대는 민군작전 임무 수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아프가니스탄전에서 난민 수용과 지원을 했던 미군의 경험을 공유한 실제적인 연습이었다"고 설명했다.
한·미 해병대는 또 민간 '갑판운반선'(Deck Carrier)을 임대해 상륙 장비와 물자를 이송하는 훈련도 처음 실시했다. 덱 캐리어로 불리는 갑판운반선은 길이 160m, 1만7천700t 규모로 헬기가 착륙할 수 있다. 넓은 갑판 형태로 구성돼 있어 상륙돌격장갑차(KAAV)와 상륙기동헬기 등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덱 캐리어는 또 항만시설이 파괴되거나 해안가 접근이 어려울 때 적재된 공기부양정이나 도하지원 선박을 활용해 전차·차량·자주포 등 해상기동이 제한되는 장비들을 대량으로 투입시켜 상륙군을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상륙훈련에는 해병대 1사단의 연대급 상륙군과 기동군수대대 등 2600여 명의 병력이 참가했다. KAAV 36대를 비롯한 K-55 자주포, K-1 전차 등 300여 대의 장비도 동원됐다. 미 해병대 3사단 보·포병중대 130여 명도 참가, 연합 작전 능력과 상호 운용성을 점검했다.
해군에서는 신형 상륙함 천왕봉함(LST-Ⅱ)과 3척의 상륙함(LST), 경계·엄호전력 및 기타 함정 20여 척이 참가했다. 기동헬기(UH-60·UH-1H·CH-47)와 공격헬기(AH-1S), 전술기와 C-130수송기 등 육·해·공군 합동 전력이 동원됐다.
상륙군 지휘관 김삼식 대령은 "이번 훈련을 통해 데크 캐리어 등 민간 자산을 군사작전에 적용·검증함으로써 한국형 단독 상륙작전의 모델을 정립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