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엽 교수 "미국 대선 전에 ICBM 능력 보여주려 할 것"
[뉴스핌=이영태 기자] 북한이 오는 8일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1∼3일 이내에 '무수단'(북한명 화성-10호)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미국 폭스뉴스가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군 당국도 2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고 면밀히 감시 중이다.
![]() |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훈련 장면 <사진=노동신문/뉴시스> |
폭스뉴스는 정보분석 관련 업무에 정통한 미국 정부 관리 두 명의 말을 인용해 24~72시간 내에 북한이 또다른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려는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정보를 근거로 이 같은 판단을 내렸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미국 언론이 3일 내에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을 지금 상황에서 전혀 아니라고 부정하긴 어렵다"며 "군은 북한이 무수단을 언제든 쏠 수 있는 문제로 판단하고 예의주시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저희들도 나름 보고 있다"며 "그냥 흘러나온 보도는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만약 북한이 실제로 행동에 나선다면 올해 들어 9번째 무수단 미사일 발사가 된다. 북한은 지난달 20일 8차 무수단 발사 실패 이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4월15일 1차 발사 이후 평균 2~3주 간격으로 이뤄진 무수단 발사 시기를 고려하면 1~3일 내에 재발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북한이 올해 시도한 8번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 중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지난 6월 22일 한 차례에 불과하다. 무수단 미사일은 3000㎞ 이상의 사거리를 갖춘 것으로 추정돼 괌 미군기지도 사정권에 두게 된다.
북한이 무수단 발사에 집착하는 것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KN-08(사거리 5000㎞~8000㎞ 추정)과 KN-14(사거리 1만㎞ 추정) 발사 전 대리시험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6일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을 노리고 전략적인 도발을 통해 존재감을 부각시킬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김동엽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계속 무수단을 이용한 고각발사로 ICBM급 핵탄두의 대기권재진입 후 일정 고도에서 폭발하는 핵탄두폭발시험을 염두에 두고 있을 것"이라며 "아마 이번엔 내륙 방현이니 사거리를 800~1000km로 하고 대신 고각을 1000~1200km정도로 해서 지난 번처럼 극단적인 고각발사방식을 조금 줄이려 하지 않을까 예측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폭스 보도처럼 무수단 발사 준비를 하고 있다면 이번에도 방현쪽 내륙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며 "아마도 미국의 새로운 대통령 결정 전에 ICBM 능력이 있을을 보여주고 싶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