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정경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외채가 278억달러 감소, 외채 건전성 개선세가 이어졌다.
기획재정부는 2015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총 외채가 3966억달러로 전년 말 대비 278억달러 줄었다고 25일 밝혔다.
단기 외채(계약만기 1년 이하)가 1087억달러로 전년 말 대비 77억달러 감소했고, 장기 외채(계약만기 1년 초과)는 2878억달러로 202억달러 줄었다.
단기 외채는 수출입 감소에 따른 민간기업 무역신용 감소(42억달러↓), 은행 차입금 상환(41억달러↓) 등으로, 장기 외채는 환율 상승에 따른 외국인의 국고·통안채 투자 평가액 감소(88억달러↓), 기업과 비은행금융기관의 회사채 상환(73억달러↓) 등으로 감소했다.
총 외채 대비 단기 외채의 비중은 27.4%로 전년 말 대비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고, 단기적인 대외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 외채 비율은 29.6%로 전년 말 대비 2.5%p 감소하며 2004년 말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외채가 감소한 것은 외국인의 국내채권 투자금액이 줄고, 은행이 외화차입금을 축소했으며, 수출입 감소로 무역신용이 줄어든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 |
외채 현황 (단위: 억달러). <자료=기획재정부> |
단기 외채가 감소한 동시에 대외채권이 증가하면서 외채 건전성과 지급능력 지표는 전년 말 대비 개선됐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대외채권-대외채무)은 3232억달러로 전년 말 대비 640억달러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기재부 관계자는 "우리 경제의 외채 건전성은 양호하나 세계 경제·금융시장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며 "정부는 외채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금융기관의 외환건전성 등을 지속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정경환 기자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