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정치

속보

더보기

김병관, 연일 의혹 쏟아져…인사청문회 난항 예상

기사입력 : 2013년02월18일 15:57

최종수정 : 2013년02월18일 15:57

- 민주당 "'의혹백화점' 김 후보자 청문회 전 자진사퇴해야"

[뉴스핌=함지현 기자]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자에 대한 각종 의혹이 연일 쏟아지고 있어 인사청문회 통과에 난항이 예상된다. 야당은 자진사퇴를 압박하고 있다.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자<사진=네이버>
핵심 쟁점인 김 후보자의 무기 수입중개업체 비상근 고문 재직 외에도 부인의 군납업체 주식투자, 증여세 탈세, 재산 허위신고, 부동산 투기, 위장전입 등 종교활동 논란 등 의혹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무기중개업체인 유비엠텍의 고문으로 재직한 전력이다. 그는 유비엠텍 비상근 고문으로 2010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근무하면서 2억1500만원 가량을 받았고 퇴직 때는 급여와 별도로 7000만원을 받았다.

군 당국이 지난 2011년 차기 국산전차 K2의 파워팩 부품 국산화를 시도했다가 독일제 유지로 선회했는데, 유비엠텍은 독일산 파워팩 부품을 수입중개하는 업체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김 후보자의 영향력이 행사됐는지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군 경력과 무관한 동양시멘트 사외이사를 2010년 7월부터 장관 내정 직전까지 지낸 부분 역시 논란이다.

그는 동양시멘트 사외이사를 하며 매년 4천 800만원의 연봉을 받는 등 사외이사 재직기간 총 1억2000여만원의 소득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김 후보자의 부인이 군에 독점으로 리튬전지를 납품하는 코스닥 상장업체에 주식투자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김 후보자는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부장을 역임하는 등 군 무기체계 도입 업무를 총괄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부대의 위문금을 개인통장에 넣어 관리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육군본부 헌병대는 지난 1998년 김 후보자가 공금을 개인 통장에 입금했다는 첩보를 입수한 뒤 공금 유용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동아일보가 18일 보도했다.

부동산 관련 논란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김 후보자는 육군 중령으로 복무 중이던 1986년 부인 배모 씨와 장남이 경북 예천군 용문면의 임야 21만1289㎡와 임야 2만8959㎡를 구입했다. 당시 부인 배씨와 8살짜리 장남이 이 땅의 지분을 절반씩 나눠 구입했다고 등기했지만 김 후보자는 고위 공직자 재산신고 때 이를 모두 숨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이후 논란이 불거지자 "당시 야전에 근무하는 관계로 증여세 납부 사실을 파악하지 못했지만 청문회를 준비하면서 미납 사실을 확인하고 52만원을 납부했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2000년 4월 1990년대부터 투기 열풍이 불었던 서초구 반포동의 한 아파트를 매입했고, 지난 1990년 6월 투기바람이 불었던 충북 청원군 강내면 당곡리 일대 1만2300m²규모의 땅도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1999년 2사단장 재직 시절 비리 혐의로 적발된 부하 장교들을 적절하게 조치하지 않아 육군참모총장으로부터 경고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 야당 "의혹 백화점…청문회 전 자진사퇴 해야"

김 후보자에 대한 의혹이 줄줄이 터져 나오자 야당에서는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민주통합당 안규백 국방위 간사는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총리 및 장관후보자 인사청문 간사단 기자간담회에서 "김 후보자는 지명된 지 4일 만에 의혹백화점, 의혹종합투성이로 불리고 있고 국방장관의 자질과 도덕성에 심각한 흠결이 발견됐다"며 "우리 군과 정부를 상대로 이권을 챙기는 로비스트 활동만으로 보더라도 장관으로 부적격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안 간사는 "지금까지 의혹 대부분이 인사청문 요청서가 국회에 제출되기 전에 언론 및 군에서 제보된 것"이라며 "국방위 활동을 하면서 합창의장과 장관 청문회를 7번이나 해봤지만 군대에서 선후배 간에 제보를 받은 일은 처음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군은 특성상 도덕적 빌미가 서지 않으면 63만 대군을 지휘할 능력이 없다"며 "더 이상 후보직을 유지하기보다는 청문회 전에 자진사퇴를 하는 것이 박근혜 정부 출범과 우리 군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함지현 기자 (jihyun0313@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