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심성 공약 봇물 예상
[뉴스핌=송의준 기자] 최근 정치권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카드수수료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봇물 터지면서 카드회사들의 고민이 더 커지고 있다.
30일 여신업계에 따르면 카드회사들은 국회의원 총선과 대통령 선거가 이어지는 올해 표심을 의식한 정치권의 카드사 옥죄기가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카드회사들이 걱정했던 상황은 이미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 가맹점단체의 잇따른 집회와 여론의 질타 속에 가맹점수수료율을 연이어 내렸던 카드회사들은 연초부터 다시 정치권의 표적이 되고 있다.
최근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현행 2%대인 가맹점 수수료율을 장기적으로 1.5%까지 낮추겠다고 밝힌 데 이어 같은 당 박종근 의원은 지난주 신용카드 중소가맹점의 수수료를 낮추기 위해 국가공기업 성격인 ‘카드공사설립법안’을 발의했다.
현재 신용카드 수수료가 1%에서 4%에 이르기까지 가맹점별로 차등적용하고 있어 중소상인에게 불리하게 돼 있는 점을 시정하고, 현금카드 성격의 체크카드 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취지라는 게 박 의원 측 설명이다.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도 지난 20일 “한나라당 박근혜 위원장도 1.5% 정도 낮추는 정책을 발표한 만큼 여야가 힘을 합쳐 통과시키도록 하자”고 말해 카드회사를 겨냥했다.
분위기가 이렇게 돌아가자 카드회사들은 우려했던 일이 현실화하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
대형 카드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카드업계에 대한 압박이 시작됐지만 사실 카드회사들은 선거가 이어지는 올해 표를 의식한 정책들이 남발할 것을 걱정했다”며 “4월 총선도 그렇지만 특히 대선모드에 돌입하면 카드회사의 당기순익과 수수료율 등에 대한 비난이 늘어나면서 업계를 옥죄는 공약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카드업계는 또 이런 분위기가 선거철이 다가오면서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지만 내놓을 카드가 여의치 않다는 게 고민이다.
다른 카드회사 관계자는 “카드회사들은 실질적으로 수수료율을 내릴 만큼 내렸다고 평가하고 있다”면서 “금융산업에 대한 이해 없는 정치권의 무리한 공약은 카드업계는 물론 모든 금융회사들에게 경영상 큰 부담을 안겨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송의준 기자 (mymind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