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인파악 없는 해지는 되레 금융질서 문란” 주장
[뉴스핌=송의준 기자] “어렵게 모집한 회원을 원인파악 절차도 없이 해지처리 할 수 있도록 하라는 것은 지나치다.”
휴면카드를 없애기 위해 금융 당국이 상담원 연결 없이도 카드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내놓자 카드회사들이 불편한 속내를 내비치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신용카드 구조개선 종합대책 발표 이후 후속대책으로 오는 3월까지를 휴면 신용카드 특별 정리기간으로 정해 이 기간에 전체 휴면카드의 30%가 넘는 약 1000만매 이상을 정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말 기준 휴면 신용카드는 총 3218만매로 총 신용카드 수(1억2258만매)의 26.3% 수준이다. 금감원은 이중 1000만매를 정리키로 하고 이를 위해 각 카드회사별로 자체 정리계획을 수립, 이행토록 지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은 우선 원활한 휴면카드 해지를 위해 2월 중 자동응답전화(ARS)나 카드회사 홈페이지에서 ‘신용카드 해지’ 항목을 찾기 쉽도록 배치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또 금감원은 더구나 카드사들이 고객의 휴면 신용카드 해지사유 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도 다른 카드 상품을 권유하는 행위를 금지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휴면카드에 대해선 상담원 연결 없이도 해지 절차가 이뤄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감독 당국의 이런 방침은 카드회사들의 불만으로 이어지고 있다. 고객을 자사 의지대로 관리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대형 카드회사 관계자는 “휴면카드가 많은 만큼 카드회사들이 앞으로 과도한 해지만류나 해지를 원하는 회원에게 또 다른 카드를 제시하는 것은 자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아무리 휴면카드라 하더라도 카드회사들이 나름 어렵게 모집한 고객인데, 그동안 사용을 하지 않은 까닭 등 탈회이유에 대한 파악도 하지 못하고 해지처리 하게 한다는 것은 지나친 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카드사 관계자도 “기업이 자기 고객에 대해 기본적인 관리를 할 수 없다는 건 또 다른 문제를 만드는 것”이라며 “상담원 연결 없이 해지처리 하면 신용카드의 발급이나 해지를 오히려 더 쉽게 생각해 금융질서가 문란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런 카드업계의 불만에도 불구, 감독 당국은 휴면카드 해지를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의지여서 카드회사들이 속앓이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송의준 기자 (mymind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