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동호 기자] KT(대표 이석채)는 GSM협회(회장 로버트 콘웨이)에 제안한 '임베디드 모바일(Embedded Mobile)' 2차 프로젝트가 협회의 공식 승인을 얻었다고 1일 밝혔다.
'임베디드 모바일'은 가전 장신구 자동차 의료기기 등에 이동통신 모듈(module)을 탑재해 다양한 기기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사람을 넘어 다른 영역으로의 커뮤니케이션 확대를 추구하고 있다.
이미 세계의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이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는 판단아래 다양한 영역에서 통신서비스를 탑재해 오고 있다.
KT도 이미 2003년부터 통신 모듈을 탑재한 로봇 청소기 등 자체 '임베디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표준화 되지 못한 요소들로 인해 관련 업체들 간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 구축에 어려움이 있어 시장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이에 KT는 지난해 11월 GSM협회에 '임베디드 모바일' 프로젝트를 제안했으며 이번 2차 프로젝트의 승인으로 산업 범위 정의와 글로벌 컨테스트를 통한 관련 산업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 2차 프로젝트에는 일본 소프트뱅크(Softbank), 미국 에이티엔티(AT&T), 프랑스 오렌지(Orange), 스페인 텔레포니카(Telefonica), 영국 보다폰(Vodafone)등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14개의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핵심 파트너 제조사들도 참여의사를 밝혀 본격적인 '임베디드 모바일' 시장이 열리게 될 전망이다.
KT 개인고객전략본부의 양현미 전무는 "'임베디드 모바일'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주도해 신규 시장을 창출하겠다"며 "특히 글로벌 콘테스트는 M2M 시장을 부양해 보다 확장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생활기기간 즉시 공유와 소통이 가능하게 돼 이동통신을 휴대전화 뿐만이 아니라 고객의 생활 전반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프트뱅크의 전략 부문장 테드 마쯔모토(Ted Matsumoto)는 "임베디드 3G 모듈 어플리케이션이 잠재적 사용 예가 다양해서 단일화된 소프트웨어의 다량 개발이 필요하며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이 많은 이용자들에게 확산되게 하기 위한 핵심 동인은 결국 모듈 가격"이라며 "이를 위해 단말 제조사와 모듈 제조사 그리고 GSMA가 협력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GSM협회 마케팅 총괄 마이클 오하라(Michael O’Hara)는 "여행중인 가족이 친지들에게 휴가 기간 동안 찍은 사진들을 바로 손쉽게 전송하고, 자동판매기 사업자가 개별 자판기의 재고수준과 판매현황을 자동으로 파악 할 수 있으며, 전력회사에서 계측기 및 전력관련 데이터의 원격 수집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며 "'임베디드 모바일'의 고객 및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이익은 무한대에 가깝다"고 말했다.
한편 GSM협회는 올해안에 세계 이동통신사업자들과 관련 업계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산업가이드를 완성 배포하고 글로벌 컨테스트를 개최할 계획이다.
GSM협회는 미래 이동통신기술을 선도하고 글로벌 이동통신 산업 발전을 위해 지난 1987년 설립됐으며 전세계 주요 통신 사업자 및 제조사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GSM / WCDMA 서비스 보급 확대 및 글로벌 로밍 사업의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현재 219개국 800여개 이동통신 사업자 및 200개 이상의 장비/단말기 회사 등 전세계 1천여 개의 회원사가 가입해 활동중이다.

'임베디드 모바일'은 가전 장신구 자동차 의료기기 등에 이동통신 모듈(module)을 탑재해 다양한 기기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사람을 넘어 다른 영역으로의 커뮤니케이션 확대를 추구하고 있다.
이미 세계의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이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는 판단아래 다양한 영역에서 통신서비스를 탑재해 오고 있다.
KT도 이미 2003년부터 통신 모듈을 탑재한 로봇 청소기 등 자체 '임베디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표준화 되지 못한 요소들로 인해 관련 업체들 간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 구축에 어려움이 있어 시장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이에 KT는 지난해 11월 GSM협회에 '임베디드 모바일' 프로젝트를 제안했으며 이번 2차 프로젝트의 승인으로 산업 범위 정의와 글로벌 컨테스트를 통한 관련 산업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 2차 프로젝트에는 일본 소프트뱅크(Softbank), 미국 에이티엔티(AT&T), 프랑스 오렌지(Orange), 스페인 텔레포니카(Telefonica), 영국 보다폰(Vodafone)등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14개의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핵심 파트너 제조사들도 참여의사를 밝혀 본격적인 '임베디드 모바일' 시장이 열리게 될 전망이다.
KT 개인고객전략본부의 양현미 전무는 "'임베디드 모바일'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주도해 신규 시장을 창출하겠다"며 "특히 글로벌 콘테스트는 M2M 시장을 부양해 보다 확장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생활기기간 즉시 공유와 소통이 가능하게 돼 이동통신을 휴대전화 뿐만이 아니라 고객의 생활 전반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프트뱅크의 전략 부문장 테드 마쯔모토(Ted Matsumoto)는 "임베디드 3G 모듈 어플리케이션이 잠재적 사용 예가 다양해서 단일화된 소프트웨어의 다량 개발이 필요하며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이 많은 이용자들에게 확산되게 하기 위한 핵심 동인은 결국 모듈 가격"이라며 "이를 위해 단말 제조사와 모듈 제조사 그리고 GSMA가 협력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GSM협회 마케팅 총괄 마이클 오하라(Michael O’Hara)는 "여행중인 가족이 친지들에게 휴가 기간 동안 찍은 사진들을 바로 손쉽게 전송하고, 자동판매기 사업자가 개별 자판기의 재고수준과 판매현황을 자동으로 파악 할 수 있으며, 전력회사에서 계측기 및 전력관련 데이터의 원격 수집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며 "'임베디드 모바일'의 고객 및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이익은 무한대에 가깝다"고 말했다.
한편 GSM협회는 올해안에 세계 이동통신사업자들과 관련 업계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산업가이드를 완성 배포하고 글로벌 컨테스트를 개최할 계획이다.
GSM협회는 미래 이동통신기술을 선도하고 글로벌 이동통신 산업 발전을 위해 지난 1987년 설립됐으며 전세계 주요 통신 사업자 및 제조사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GSM / WCDMA 서비스 보급 확대 및 글로벌 로밍 사업의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현재 219개국 800여개 이동통신 사업자 및 200개 이상의 장비/단말기 회사 등 전세계 1천여 개의 회원사가 가입해 활동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