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신종 플루(A형 인플루엔자)가 1957년 아시아 독감 정도로 높은 치사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감염력도 계절성 독감에 비해 강력하다는 과학자들의 초기 분석이 제출됐다.
닐 퍼거슨(Niel Ferguson)이 주도하는 런던 임페리얼칼리지의 과학자팀이 11일(현지시간)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스(Science)'지에 발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번 신종 플루의 치사율은 약 200만 명을 사망하게 만든 1957년의 아시아 독감과 비슷한 규모인 0.4%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계절성 독감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의 수는 25만~50만 명 정도다.
이번 연구팀의 보고서는 분석 결과에 대해 "아직 불확실성이 높지만 상황은 1918년 사태보다는 약하지만 1957년 사례와 필적한다"면서, "이번 신종 플루가 20세기 발생한 세계적 유행병에 필적하는 사례가 될 수도 있다"는 잠정 결론을 내놓았다. 아시아 독감의 치사율은 0.5% 수준이었다.
과학자들이 궁금해 하는 것은 이번 신종 플루가 변이를 거쳐 보다 치사율이 높은 위험한 바이러스로 발전할 것인지 여부에 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세계적 유행병은 한 세기에 두 세 차례 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세계은행(WB)이 2005년 연구결과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1918년 스페인 독감과 같은 사태가 되면 약 1억 8000만~2억 600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WHO에 따르면 11일 현재 신종 플루 감염자 수는 4694명으로, 이 중에서 61명이 사망했다. 56명이 멕시코에서 발생했으며 미국에서 3명 그리고 캐나다와 코스타리카에서 각각 1명씩 사망했다.
미국 질병통제및예방센터(CDC)는 미국 44개주에서 총 2618명의 감염자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WHO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신종 플루의 병독성에 대해 각국 당국의 적절한 대처로 인해 강독, 중독 그리고 약독 등 3단계 중 약독성에 가까울 수 있다는 견해를 시사했다.
하지만 당장 독성이 약독성이라고 판단을 내리기에는 시기상조인 면이 있다면서, 다만 감염 지역의 확산 면에서는 경계등급이 세계적 유행병을 뜻하는 '6단계'로 높아질 수 있기 ㅤㄸㅒㅤ문에 혼란을 줄 수 있어 우려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닐 퍼거슨(Niel Ferguson)이 주도하는 런던 임페리얼칼리지의 과학자팀이 11일(현지시간)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스(Science)'지에 발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번 신종 플루의 치사율은 약 200만 명을 사망하게 만든 1957년의 아시아 독감과 비슷한 규모인 0.4%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계절성 독감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의 수는 25만~50만 명 정도다.
이번 연구팀의 보고서는 분석 결과에 대해 "아직 불확실성이 높지만 상황은 1918년 사태보다는 약하지만 1957년 사례와 필적한다"면서, "이번 신종 플루가 20세기 발생한 세계적 유행병에 필적하는 사례가 될 수도 있다"는 잠정 결론을 내놓았다. 아시아 독감의 치사율은 0.5% 수준이었다.
과학자들이 궁금해 하는 것은 이번 신종 플루가 변이를 거쳐 보다 치사율이 높은 위험한 바이러스로 발전할 것인지 여부에 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세계적 유행병은 한 세기에 두 세 차례 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세계은행(WB)이 2005년 연구결과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1918년 스페인 독감과 같은 사태가 되면 약 1억 8000만~2억 600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WHO에 따르면 11일 현재 신종 플루 감염자 수는 4694명으로, 이 중에서 61명이 사망했다. 56명이 멕시코에서 발생했으며 미국에서 3명 그리고 캐나다와 코스타리카에서 각각 1명씩 사망했다.
미국 질병통제및예방센터(CDC)는 미국 44개주에서 총 2618명의 감염자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WHO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신종 플루의 병독성에 대해 각국 당국의 적절한 대처로 인해 강독, 중독 그리고 약독 등 3단계 중 약독성에 가까울 수 있다는 견해를 시사했다.
하지만 당장 독성이 약독성이라고 판단을 내리기에는 시기상조인 면이 있다면서, 다만 감염 지역의 확산 면에서는 경계등급이 세계적 유행병을 뜻하는 '6단계'로 높아질 수 있기 ㅤㄸㅒㅤ문에 혼란을 줄 수 있어 우려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