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사회단체·여행업계 성명서 발표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무안국제공항 재개항이 또다시 불투명해지자 지역 사회가 전남도의 책임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회와 무안국제공항정상화협의체, 무안군 사회단체 등은 26일 성명을 내고 "전남도는 공항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즉시 제시해야 한다"며 "도민은 더 이상 '기다려 달라'는 말로 설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 |
|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26일 오전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사회단체·여행업계 등은 전남도청 앞에서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지연, 전남도는 즉각 정상화 대책 내놔야"한다고 성명서를 발표하고 가두 행진을 벌이고 있다. 2025.11.26 ej7648@newspim.com |
이들은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2025년 동계 정기편 항공일정'에서 무안국제공항을 제외함에 따라 내년 3월까지 전남 서부권 주민들이 항공 접근성 단절에 따른 불편을 겪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항공 참사 이후 11개월째 공항이 폐쇄돼 사실상 유령공항으로 전락했다"며 "이는 안전 문제를 넘어 지역 균형발전의 근간이 흔들리는 사태"라고 지적했다.
또 추진위는 전남도에 ▲공항 내부 분향소 외부 이전 ▲복구공사 진행상황 공개 ▲여수공항 국제선 추진 명분 명확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재신청에 대한 입장 표명 ▲무안공항 정상화 로드맵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분향소 외부 이전은 재개항의 첫걸음이며, 유가족 추모권을 지키면서도 지역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라며 "여수공항 확장과 국제선 추진은 무안공항의 존재 이유를 훼손하는 행위"라며 "김영록 지사는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했다.
또 "무안공항이 11개월째 멈춰 서는 동안 지역경제는 이미 2000억 원 이상 손실을 입었다"며 "이제는 약속이 아닌 계획과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마지막으로 "무안국제공항 재개항은 전남 서남권의 생존이자 도민의 자존심"이라며 "정상화가 이뤄질 때까지 끝까지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ej7648@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