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문 부산울산경남취재본부장
![]() |
| 남경문 부산울산경남취재본부장 |
[부산=뉴스핌] 남경문 기자 =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선룰을 '당심 70%, 민심 30%'로 정하면서 당내 파열음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지방선거기획단은 25일 국회에서 전국 기초단체장 연석회의를 열고 내년 지방선거 전략과 공천 원칙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지방선거 경선을 당원투표 70%, 여론조사 30% 비율로 정하겠다는 방침이 공유됐다.
중앙당은 조직 결집과 당세 확장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지만, 일선 기초단체장들의 반발은 달리 읽힌다.
특히 부산 중구 최진봉 구청장의 공개 반기는 '민심을 앞세운 선당후사'보다 '개인 정치 셈법'이 앞선 행보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 구청장은 당심 비율을 70%로 높인 조정안에 대해 "국민의힘이 민주당처럼 특정 지지층 중심으로 흐르면 안 된다"며 민심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표면적으로는 합리적 논리처럼 들리지만, 그 속에는 내년 중구청장 경선을 앞둔 현실적 불안이 자리한다. 윤종서 전 청장 등 경쟁 후보와의 대결 구도가 예고된 가운데 중구는 부산 내 유권자 수와 당원 수 모두 적은 지역이다. 이 때문에 현 당협위원장의 영향력이 크고, 당원투표 비중이 높아질수록 현역에게 불리하다는 해석이 뒤따른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최 구청장의 문제 제기를 '선당후사'보다 '생존 전략'으로 본다. 현역으로서 인지도 면에서 우위에 있는 그는 민심 비율을 높일수록 유리하다.
결국 민심 확대를 요구하는 발언이 '공정'을 내세운 명분 아래 숨은 이해득실 계산이었다는 지적이다. 이는 현역 단체장들이 흔히 빠지는 '공천 유불리'의 덫을 그대로 보여준다.
중앙당의 당심 강화는 조직 기반을 다지고 분열을 막기 위한 선택이지만, 그 과정에서 지역 현장의 불만이 쌓이고 있다. 일부 현역들은 불리한 제도를 '비민주적'이라 비판하면서도, 정작 그 논리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작동하길 바란다.
민심을 말하지만 민심을 이용하고, 당심을 비판하지만 당심을 원한다는 모순이 여기에 있다. 결국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직면한 문제는 룰 그 자체가 아니다. '당심이냐, 민심이냐'의 균형보다 더 본질적인 것은 정치인 각자의 태도다.
선거를 앞두고 자기 이익에 갇힌 채 공천 룰을 흔드는 행태가 반복된다면, 이를 지켜보는 유권자의 신뢰는 더욱 멀어진다. 기초단체장에서 중앙당까지, 국민의힘이 스스로 묻는 질문은 하나다. "누구를 위한 정치인가."
news234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