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헌법존중 TF 가동…제보센터 설치
제보 경로 주로 온라인…일부 미정인 곳도
행안부, 내달 12일까지 접수…지자체 포함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중앙행정기관별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TF)가 가동된 가운데, 대부분의 부처는 온라인 익명 접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정부에 따르면 부처별 헌법존중 TF는 구성을 마치고 본격 활동을 개시했다. 각 기관에는 내부 제보센터도 설치됐다.
총리실의 헌법존중 TF 추진계획에 따르면 제보자에 대한 익명이 보장된다. 불이익 조치도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기관별 TF는 제보센터 접수 내용과 함께 언론, 국정조사 및 감사 등 모니터링 등을 통해 수집한 의혹을 살펴본다.
![]() |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내 헌법존중TF 제보 접수 양식 [자료=행정안전부] 2025.11.25 sheep@newspim.com |
부처별 제보 접수 경로를 살펴보면 행정안전부는 헌법존중 TF 및 공직비리 관련 익명 신고센터를 홈페이지와 유선 전화를 통해 다음 달 12일까지 접수받는다.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의 12·3 비상계엄 참여·협조 행위도 행안부가 접수받는다.
행안부 TF는 내년 1월 30일까지 운영될 예정으로, 단장은 윤호중 행안부 장관이 맡았다. 객관성과 중립성 확보를 위해 외부자문위원을 뒀고, 총 12명으로 구성됐다. 외부위원의 규모 등 구체적 운영 내용은 추가 논의를 거쳐 결정한다.
소방청 TF는 청장 직무대행을 단장으로, 19명이 참여한다. 외부자문위원 4명을 뒀고 내년 1월 30일까지 운영한다. 제보는 소방청 홈페이지를 통해 받는다.
고용노동부 TF 단장도 김영훈 장관이 맡았다. 실무는 감사담당관실에서 맡는다. 이날부터 내부망에 관련 공지와 제보신청 절차를 안내한다는 방침이다.
제보 접수는 큐알(QR) 코드를 촬영하면 설문지가 연결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원칙은 익명이지만, 희망하는 경우에 한해 실명이나 가명으로도 접수받는다.
![]() |
중기부는 내부적으로 익명 제보 게시판을 마련했다. 게시판 운영 기한은 다음 달 5일까지로, 감사관실에 유선 제보하는 방식도 있지만 공식적으로 전화 창구를 만들지는 않았다는 설명이다.
아직 구체적 제보 경로를 마련하지 않은 부처도 많았다. 기획재정부도 아직 신고·제보 접수 방식을 정리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는 감사과가 중심이 되어 TF를 운영한다. 접수 방식은 미정이나 홈페이지 및 게시판 등을 활용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 모두 익명 창구를 만들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해양수산부도 감사관실 중심으로 익명 제보 창구를 만들었다.
![]() |
shee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