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산 대비 비용 60% 절감
5개 LNG 기지 연말 도입 계획
[세종=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한국가스공사가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 설비 자동진단장비를 개발했다.
가스공사가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 설비 고장을 조기에 판별하는 'KESA(KOGAS Electrical Signature Analyzer) 자동진단장비'를 자체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 |
| 한국가스공사 전경 [사진=한국가스공사] 2025.11.19 lahbj11@newspim.com |
가스공사는 지난해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회전설비 이상 진단 장비 개발' 연구 과제를 수행했으며, 최근 총 41대의 주요 천연가스 설비에 대한 실증 테스트를 마치고 현장 도입을 앞두고 있다.
KESA 자동진단장비는 LNG 생산기지의 초저온 LNG 펌프, 증발가스 압축기, 기화해수펌프 등 전동기 구동 방식 설비 약 440대에 공급되는 전력 데이터를 분석해 발생 가능한 고장을 예측한다.
특히 비전문가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상태 진단 기능이 탑재된 이동식 기기로 개발된 것이 특징이다.
가스공사는 이번 연구 개발을 통해 설비 진단 장비 도입 비용을 외산 대비 약 60% 절감하고, 고장 진단 범위도 부품 영역까지 확대했다.
가스공사는 자동진단장비를 현장에 투입함으로써 상태기반정비를 통한 설비 운전시간 연장과 정비 비용 절감 등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상태기반정비란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센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장 위험이 높아질 때만 정비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가스공사는 이 장비를 평택·인천·통영·삼척·제주 등 LNG 생산기지 5곳에 올해 말까지 1대씩 보급하고 사용자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장비를 활용해 나온 각종 데이터는 향후 구축 예정인 '인공지능(AI) 천연가스 설비 예지 보전 시스템'의 학습용 설비 운영 빅데이터로 쓰일 전망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KESA 자동진단장비는 천연가스 설비는 물론 유사 설비를 운영하는 다른 산업 분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며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 이전 등을 통해 산업 생태계 전반의 상생 혁신에도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
lahbj1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