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미납가산금 조정 완료...재발 방지책 마련"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KT가 해킹으로 인한 소액결제 피해자들에게 피해금액에 대한 '연체가산금'을 부과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피해자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KT는 뒤늦게 이를 인지하고 가산금 부과를 취소하는 등 후속 조치에 나섰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더불어민주당·경기 남양주갑)은 최근 KT의 관련 사례를 확인하고 회사 측에 질의한 결과, KT는 피해자들에게 피해금액을 전액 보상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전자결제대행(PG)사의 오류로 인해 '미납가산금'이 부과됐다고 해명했다.
![]()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 2025.10.29 mironj19@newspim.com |
KT에 따르면 11월 10일 기준 미납가산금이 부과된 건수는 26건, 총액은 29만 원에 달한다. KT는 "추가 금전 피해가 없도록 미납가산금에 대한 조정을 완료했으며, 지로 청구서를 받은 피해 고객에게는 개별 상담과 안내도 진행했다"고 밝혔다.
또 "해당 PG사에 강력히 항의했으며, PG사 측에서도 미납가산금 데이터 검증 절차 강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최 위원장은 "피해금액이 크지 않더라도, 해킹 피해를 입은 고객에게 연체가산금을 부과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국가 기간통신망을 운영하는 KT가 얼마나 시스템적으로 망가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최 위원장은 "KT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철저한 쇄신에 나서야 한다"며 "정치권력의 잔재를 청산하고, 회사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역량 있는 인물들이 새 경영진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chaexou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