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11월 14일 오전 11시5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AI 번역에 기반해 생산된 콘텐츠로, 11월 14일자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기사를 인용하였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대표 빅테크 텐센트(0700.HK)가 13일 2025년 3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3분기 텐센트는 전년 동기 대비 15% 늘어난 1928억7000만 위안의 매출을 기록했고, 비국제회계기준(Non-IFRS) 영업이익은 725억7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2025년 3분기 성적표를 통해 드러난 텐센트의 3대 성장키워드는 △인공지능(AI) △해외 진출 △'장청(長青)'과 '신아(新芽)'로 대변되는 신구 캐시카우(수익창출원)의 세 가지로 압축된다.
1. 인공지능(AI) 기술개발 집중 투자
텐센트가 자체 개발한 AI 챗봇 '위안바오(元寶)' 생태계 통합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올해 7~9월 위안바오는 텐센트의 주요 애플리케이션 수십 개에 연동되며 소셜, 오피스, 소비 등 다양한 핵심 분야를 포괄했다. 위안바오를 통한 일일 질문 횟수가 올해 초 한 달치 수준에 달하는 등 빠른 성장을 보였다. 이는 텐센트의 꾸준한 연구개발(R&D) 투자와 AI 인프라 강화 노력의 결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텐센트의 R&D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텐센트의 R&D 지출은 2분기의 202억5000만 위안에서 3분기 228억2000만 위안으로 늘었고, 자본 지출은 129억8000만 위안에 달했다.
2023년 공개한 자체 개발 대형언어모델(LLM) '훈위안(混元)'의 성능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9월 텐센트는 '훈위안 이미지 3.0'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으며, 이 모델은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벤치마크 LMArena의 텍스트-이미지 생성 평가에서 블라인드 테스트 1위를 차지했다. 현재 '훈위안' 이미지 및 영상 파생 모델의 총 수는 3500개에 달하고, 3D 관련 모델의 커뮤니티 다운로드 수는 300만 건을 넘어섰다.
![]() |
| [사진 = 텐센트 공식 홈페이지] 텐센트 건물 전경 |
2. 게임∙클라우드·위챗 해외 영향력 지속 확대
텐센트의 해외 사업은 분기 연속으로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3분기 해외 매출 증가는 주로 게임 사업에서 기인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와 웨이신(微信, 해외판은 위챗∙WeChat) 생태계 또한 견조한 성장을 보였다.
특히 3분기 해외 게임 매출 규모는 처음으로 200억 위안을 돌파해 208억 위안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3분기 텐센트 전체 게임 매출은 636억 위안에 달했고, 해외 매출 비중은 전체의 30%를 넘어섰다.
게임 외에도 클라우드의 해외 사업 역시 꾸준히 확장하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두 자릿수의 높은 매출 성장률을 유지했으며, 현재 텐센트 클라우드는 해외에 진출한 중국 인터넷 기업의 90% 이상에, 해외 게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중국 기업 95% 이상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챗 생태계의 글로벌 확장도 가속화되고 있다. 여름 휴가 시즌 동안 위챗페이의 해외 오프라인 결제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 현재 위챗 미니프로그램은 전세계 92개 국가와 지역, 103개 세부 산업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3. '장청+신아' 양대 수익모델 동반 성장
최근 2년간 텐센트의 재무 보고서에는 꾸준히 '장청(長青, 장기적 수익창출원)'과 '신아(新芽, 신흥 수익창출원)'라는 두 가지 단어가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장청'은 지속 가능한 안정적 수익을 창출하는 제품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다. 대표적으로 출시 10년을 맞은 게임 '왕자영요(王者榮耀)'를 꼽을 수 있다.
'신아'는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향후 텐센트에 강력한 현금 흐름을 가져올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위챗 생태계의 쇼트클립 공유 서비스인 스핀하오(視頻號), 위챗 미니 앱인 '샤오청쉬(小程序)' 그리고 'AI 애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된다.
올해 3분기에는 '장청'과 '신아' 두 사업 영역 모두에서 성과를 거뒀다.
게임 사업의 경우 국내 게임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서도 텐센트의 국내 시장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하며 428억 위안에 달했고, 전체 게임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22.8% 상승했다. 이러한 성장은 '왕자영요'라는 대표적 '장청' 제품의 견인 덕분으로 분석된다.
'신아' 사업 역시 빠르게 성장하면서, 웨이신(중국) 및 위챗(해외)의 합산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14억1400만 명으로 한층 확대됐다. AI 응용 생태계 부문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가 있었다. 지식기반을 핵심으로 하는 AI 업무 플랫폼인 'IMA' 2.0 버전이 출시됐으며, 9월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1월 대비 80배 이상 증가했다.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