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찬우 기자 = 중국 상무부가 10일 한화오션의 미국 현지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 집행을 1년간 유예했다. 지난달 부산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해운·조선 분야 긴장 완화 조치가 실제 이행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한화오션은 "환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 |
| 한화오션 거제 사업장 전경. [사진=한화오션] |
중국 상무부는 왕원타오 부장 명의 성명을 통해 이날부터 발효 예정이던 제재를 1년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같은 날부터 1년간 중국 해운·물류·조선 산업을 대상으로 한 무역확장법 관련 조치를 유예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상응 조치다. 앞서 미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해운·조선 기업 대상 항만 입항료 부과 및 장비 관세 부과 등을 1년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중국산 항만 크레인에 예정된 100% 관세 부과가 중단되고, 중국 선박 대상 미국 항만 입항료 부과도 유예된다. 중국 교통운수부 역시 국무원 비준을 거쳐 이날 오후 1시 1분(미 동부시간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2시 1분)부로 미국 선박에 부과된 특별 항만요금과 관련 조사 조치를 1년간 중단한다고 공표했다.
이번 조치로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들에 대한 직접적인 사업 차질 위험은 일단 해소됐다. 업계에서는 미국·중국을 동시에 주요 시장으로 두고 있는 조선·해운 밸류체인 기업 입장에서 단기 공급망 경색 가능성이 완화됐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항만하역 장비, 물류 네트워크, 조선 기자재 범위를 포함한 협력 구조가 다시 안정 국면에 들어설 여지가 생겼다는 평가다.
한화오션은 이번 중국 측 발표에 대해 "중국 정부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유예 조치로 중국 내 사업 파트너들과의 관계가 더욱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최근 방산·조선·에너지 부문에서 중국 및 아시아 해운·물류 네트워크와의 협업 비중이 늘어난 만큼, 유예 기간 동안 공동 프로젝트 및 공급망 협력 강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번 유예는 '해제'가 아닌 '시간을 번 조치'라는 점에서 불확실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에 업계선 미·중 전략 경쟁 구도 자체가 완화된 것은 아니며, 내년 상반기 이후 협상 진척 여부에 따라 제재·관세 조치가 되살아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chanw@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