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윤 광주시의원 "광주시교육청, 공기질 관리 대책 마련해야"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교육청이 학교 공기질 측정 결과에 따른 실효성 있는 후속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나윤 광주시의원은 5일 광주시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매년 공기질 측정과 관련해 재측정 학교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마땅한 후속 조치가 없어 교육청 차원의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 김나윤 광주시의원. [사진=박진형 기자] |
광주시교육청은 학교 보건법 시행규칙에 따라 연 2회 정기 점검 공기질 측정 용역사업을 하고 있다.
측정은 실내 환경 4종(환기, 채광, 온·습도)과 실내 공기질 12종(폼알데하이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 등)의 항목을 학교당 3개소 이상의 측정 지점을 정해 진행된다.
김 의원은 "2023년 79교, 2024년 64교, 올해는 상반기에만 41교의 학교가 기준치 미달로 재측정했으며 3차 측정까지 간 학교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올해 특정 유치원의 경우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기준치의 140배 이상 초과해 재검점을 받았다"며 "어린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 있다면 공기질 측정 이후 실효성 있는 개선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 "측정 결과를 해당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미공개하거나 회원가입 후 여러 단계를 거쳐야 확인할 수 있는 실정이다"며 "누구나 손쉽게 공기질 측정 결과를 볼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bless4ya@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