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1조6142억원에서 3조550억원으로 89.3% 급증
빠르면 11월 1일부터 관세율 15% 소급 적용 가능성 커져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2025년 3분기 미국 25% 관세로 발생한 합산 영업손실 규모가 3조55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분기에 비해 2배 가까이 폭증한 관세 피해액에 어느 때보다 '터프'(tough, 힘든)한 시기를 보낸 현대차·기아는 관세율이 낮아질 오는 4분기부터 반등에 나설 방침이다.
|  | 
| 현대차·기아 양재 사옥. [사진=현대차] | 
현대차는 지난 30일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3분기 관세 영향으로 인해 1조821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다만 "선제적인 컨틴전시 플랜의 적극적인 실시로 관세 영향을 일부 만회했다"며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예측 가능한 사업운영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금액 외적으로도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기아는 31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미국 관세의 25% 적용으로 1조2340억원 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관세 영향을 일부 완화하기 위한 미국 시장 내 인센티브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럽 시장에서의 경쟁 비용 확대로 연결 기준 인센티브는 전년 동기 대비 2640억원 증가하며 손익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전했다.
현대차·기아의 3분기 관세 피해 규모는 지난 2분기 합산 피해액 1조6142억원의 2배에 육박하는 89.3% 증가한 수준이다.
25% 관세 효과가 3분기 본격적으로 반영됐고 또 시장 점유율 사수를 위해 가격을 인상하지 않는 전략을 구사하며 판매량이 분기 역대 최고 수준으로 늘며 관세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졌다.
다만 일찌감치 예상됐던 피해 규모이며 현대차그룹이 가격 방어 전략으로 대응하겠다고 공언하며 시장과 회사에 큰 충격을 주지는 않았다.
분기 영업이익 3조원이라는 대규모 손실을 감내한 현대차·기아에게 한미 관세협상 최종 타결 소식은 반등을 준비할 신호탄이 됐다.
한미 양국은 지난 29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을 계기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자동차 관세를 15%로 최종 타결했다. 관세인하 소급 시점은 양국 합의에 따라 빠르면 11월 1일부터 소급 적용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오는 4분기 현대차·기아의 관세 피해액이 감소하며 연간 합산 20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25% 관세가 15%로 낮아질 경우 현대차·기아의 연간 관세 비용이 약 4조원 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현대차는 실적 발표 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예측 가능한 사업운영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금액 외적으로도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관세 영향의 60%를 만회하고 있다. 가격요소보다 비가격요소가 더 많다. 재료비 절감, 경상예산 절감이 연간 7000억원 이상 절감했고, 믹스 개선, 서비스 영역 등 전 부분을 들여다보고 원가 절감을 매달 체크하며 보고 있다"며 "가격 전략은 이미 '패스트 팔로워' 전략을 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향후 대응 전략에 대해 "전사적 협업 과제를 발굴했고, 주기적 점검을 통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관리할 예정"이라며 "예를 들면 신차 원가 절감에 굉장히 집중해왔다. 이제는 신차만큼 양산차 원가 절감에도 R&D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이브리드 시스템 원가 경쟁력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판단하고 있고, 하이브리드 시스템 중장기 원가절감 로드맵을 재검토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기아 역시 컨퍼런스콜에서 이번 분기를 '저점'으로 규정하며 4분기 실적 개선 가능성을 시사했다.
kims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