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 중심
AI 정책 프레임워크·데이터셋 개발·안전한 AI 혁신 등 공동 추진
차세대 통신·바이오 공급망·양자·우주 탐사 등 전략 기술 분야 협력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국과 미국이 AI, 양자기술, 바이오, 우주 등 첨단 과학기술 전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 기술번영 MOU(Technology Prosperity Deal, TPD)'를 체결했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 '한·미 기술번영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성과로, 한국 측에서는 배경훈 부총리가, 미국 측에서는 백악관 마이클 크라치오스 과학기술정책실장이 서명했다.
양국은 지난 1992년 체결한 과학기술협정을 시작으로 원자력·우주 등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왔으며, 이번 MOU를 통해 AI와 양자, 합성생물학 등 핵심 신흥기술까지 협력 범위를 확장한다. 이를 통해 양국은 미래세대의 번영과 삶의 질 향상을 공동 목표로 삼고, 과학기술 중심의 '기술 동맹'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  | 
|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오른쪽)과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 '한·미 기술번영 MOU' 체결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MOU는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와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 두 축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축인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 분야에서 양국은 AI 기술을 활용한 산업 발전 가속화를 위해 혁신 친화적인 AI 정책 프레임워크를 공동 개발하고, AI 전 분야에 걸친 기술 수출 협력을 추진한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AI 수출과 데이터셋 개발, 안전한 AI 혁신 촉진 등에서도 긴밀히 협력하며, 역내 국가들과의 공동 AI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두 번째 축인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에서는 차세대 통신, 제약·바이오기술 공급망, 양자 혁신, 우주 탐사 등 전략 기술 분야에서 공동 연구 및 실행 방안을 모색한다. 아울러 연구안보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기초연구와 인력 교류를 활성화해 양국의 과학기술 협력 기반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으로 한·미 양국은 기초연구부터 전략기술, 연구안보까지 포괄하는 기술동맹을 공고히 하게 됐다. 특히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MOU 이행의 실질적 추진체계로 삼아 협력의 지속성과 실효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MOU 발표 직후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과 마이클 크라치오스 실장은 별도 회담을 열고 이행 방안을 논의했다. 양국은 이를 토대로 내년 워싱턴 D.C.에서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해 구체적인 협력 방향을 마련할 예정이다.
하정우 수석은 "이번 MOU는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와 민간 주도의 혁신을 기반으로 양국이 함께 기술 주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 풀스택 수출과 공동 연구개발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배경훈 부총리는 "이번 협정은 미래 세대의 번영을 위한 한·미 협력의 상징"이라며 "과학기술을 통한 자유와 상생의 연대를 강화하고, 앞서 미국 블랙록·오픈AI와 체결한 협력 MOU에 이어 한·미 간 과학기술 교류와 투자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