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中国东营城市推介会暨孙子文化旅游节(韩国)分会场活动成功举办

기사입력 : 2025년10월22일 07:40

최종수정 : 2025년10월22일 07:4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纽斯频通讯社首尔10月22日电 "沿着黄河遇见海"东营城市推介会暨孙子文化旅游节(韩国)分会场活动20日在韩国京畿道杨州市成功举办。

本次活动以城市推介、文化讲座、生态摄影展、非遗体验等多元形式,向韩国各界展示东营的生态之美、文化之韵与发展活力,搭建起东营与国际友城杨州之间文明互鉴的新桥梁。

【图片=国际在线提供】

活动现场嘉宾云集,杨州市厅自治协力组组长崔才媛、组员禹世铉,韩中人文学会前会长、韩国国立江原大学哲学实践研究所所长、教授俞成善,韩国国立江原大学人文学院、行政主管李奉宰,韩国京畿道信韩大学国际交流处前处长、国际观光学教授李大洪,韩国多文化青少年京畿北部协会会长柳龙德,《韩国先驱报》资深记者孙多光,韩国湖南商会会长李剑,韩国东北三省总商会秘书长朱叶,韩中经济文化教育协会在韩中国企业家分会理事王天等各界代表出席,共同为这场跨文化交流活动助力。

活动从"湿地之城""文化之城""美食之城""追梦之城"四个维度进行东营城市推介,全方位展现东营魅力。作为全球首批国际湿地城市,东营拥有1530平方公里的黄河三角洲国家级自然保护区,全域湿地率达41.6%,每年吸引374种、600多万只鸟类栖息,被誉为"鸟类国际机场"。东营充分发挥孙子故里、吕剧发祥地等地方特色,融合黄河文化、石油文化、孙子文化等多元文脉,将中国(广饶)国际孙子文化旅游节打造成享誉中外的文化名片。此外,黄河口大米、黄河口大闸蟹、麻湾西瓜等特色美食彰显地方风味,吸引着中外游客慕名而来。东营还拥有富集的石油、天然气等资源,工业营业收入突破万亿元,新材料、新能源等新产业蓬勃发展,展现出强劲的城市发展动能。

广饶孙子文化研究中心专家荣敦宁以"孙子兵法的故事"为主题开展文化讲座。他从《孙子兵法》历史背景入手,生动阐述其中的战略智慧,挖掘其背后的人文思考,让现场韩国嘉宾深入感受中国古代文化的历史厚度与时代价值。

本次活动同步举办多项特色主题展览,让韩国嘉宾近距离直观感受东营魅力。"兵圣故里匠心非遗"东营非遗暨孙子文化体验展上,东营剪纸、东营草编、广饶齐笔、乐安面塑、黄河口布老虎等非遗项目惊艳亮相,同时还展出了东营城市吉祥物"河东东""海营营"、《孙子兵法》书籍及文创产品等。嘉宾们通过实物观赏与亲身体验,对东营非遗的精湛技艺与文化内涵有了更深入的了解。

韩中人文学会前会长、国立江原大学哲学实践研究所所长俞成善教授在闭幕致辞中高度评价本次活动的文化价值和深远意义。俞成善特意引用《孙子兵法》"知己知彼,百战不殆"与孔子"有朋自远方来,不亦乐乎"等中华文化经典内容,强调中韩两国一衣带水,文化渊源深厚,"和而不同""共生共荣"的理念是双方合作的良好基础,期待东营与杨州以此次活动为契机,进一步拓展文化、旅游领域合作空间,推动民心相通。

"我认为无论是从经济方面,还是文化、历史方面,这都是一次非常有意义的活动。"韩国京畿道信韩大学国际交流处前处长、国际观光学教授李大洪曾与山东有多次交集,此番特地来参加活动以进一步了解东营。李大洪坦言,自己之前只知道东营是一座石油产业城市,如今看到这里不仅有孙子文化,还有美丽的湿地风光,让他大为惊叹。他希望东营城市推介活动在韩国更多地方举办,自己也会发动身边人积极参与,创造更多中韩文化交流的机会。

 "东营这座城市真的非常打动我!"《韩国先驱报》资深记者孙多光在参加活动后表示,东营城市发展和生态保护取得的成绩都非常令人敬佩。他提到,中韩两国都有 "以史为鉴、温故知新"的观念,用这一视角看待孙子文化,就能发现其中的历史包容和时代价值,值得现代学者、学生以及每一个人认真学习。孙多光还兴奋地说,自己作为一个美食爱好者,看到黄河口大闸蟹、史口烧鸡等特色美食的推介,让自己对东营增添了更多向往。

作为"机遇中国 多彩山东"中华文化出海项目活动之一,本次活动不仅是东营城市形象的一次海外集中展示,更是中韩地方文化交流的又一次生动实践。未来东营将以更丰富的形式推动与海外友城的交流合作,创新搭建中外文明互鉴的新桥梁,让黄河文化、孙子文化走向世界,全方位展现"湿地之城"的生态魅力,进一步增强东营城市国际影响力,为国际交流与合作注入新活力。(完)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메타, AI 데이터센터 구축 270억달러 조달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메타플랫폼스(NASDAQ: META)가 루이지애나주 리치랜드 패리시에 건설 중인 초대형 데이터센터 '하이페리온(Hyperion)' 프로젝트를 위해 사모펀드 블루아울캐피털(Blue Owl Capital)과 손잡고 270억달러(약 38조 7000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 계약을 체결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거래는 민간 기업의 단일 자금조달 규모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메타는 프로젝트의 약 20% 지분을 보유하고, 나머지 대다수 지분은 블루아울이 운용하는 펀드가 보유한다. 블루아울은 약 70억달러 현금을 투입했으며, 메타는 그 대가로 약 30억달러의 일회성 현금 배당을 받았다. 하이페리온 데이터센터는 2기가와트(GW) 이상의 연산 용량을 갖춰 대규모 언어모델(LLM) 학습 등 차세대 인공지능(AI) 연산 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메타는 현지에 500명 이상을 고용할 계획이며, 시설 임대계약은 4년 기한에 연장 옵션이 포함된 형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에는 블랙록과 핌코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대규모로 참여했다. 블랙록은 전체적으로 약 3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인수했으며, 일부는 액티브 하이일드 ETF 등에 편입됐다. 핌코는 약 180억달러어치를 사들이며 최대 투자자로 참여했다. 업계는 이번 메타의 270억달러 조달을 AI 연산력 확보 경쟁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대형 기술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센터와 전력망 확충에 수백억 달러를 쏟아붓는 가운데, 모건스탠리는 메타·구글·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올해만 약 4천억달러를 AI 인프라에 투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오픈AI 역시 26GW 규모의 연산 능력 확보를 위해 1조달러 이상을 투입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메타의 기업 로고 [사진=블룸버그] wonjc6@newspim.com     2025-10-22 09:32
사진
北, 동북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북한이 22일 오전 8시10분 경 동북 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합참에 따르면, 우리 군은 22일 오전 8시10분경 북한 황북 중화 일대에서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 포착된 북한의 미사일은 약 350km 비행했고,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 정보 당국이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22일 오전 8시10분 경 동북 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사진은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장면,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2 gomsi@newspim.com 합참 관계자는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하였다"면서 "또한,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보실은 안보실 및 국방부·합참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안보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국가안보실 관계자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련 상황을 대통령께 보고하면서 상황을 주시해 왔다"면서 "특히 '긴급 안보 상황 점검회의'를 통해 안보실과 국방부 및 군의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한반도 상황에 미칠 영향을 평가했다"고 했다. gomsi@newspim.com 2025-10-22 11:12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