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번호이동 64만 3,000여 건…전월 대비 소폭 감소
아이폰17 출시에도 보조금 경쟁 부재, 소비자 체감 효과 제한
KT 위약금 면제 검토, 보조금 경쟁 재점화 가능성 주목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 두 달을 맞은 이동통신 시장이 조용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애플의 최신 모델 '아이폰 17 시리즈' 출시 호재와 보안 악재 등의 변수가 겹쳤지만, 가입자 쏠림이나 보조금 경쟁은 나타나지 않았다.
1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공개한 9월 이동전화 번호이동 현황에 따르면, 통신 3사의 전체 번호이동 건수는 64만 3,87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64만4,618건)보다 소폭 줄어든 수치다.
통신사별로 보면, KT는 지난달 무단 소액결제 사고에도 불구하고 순감폭이 2,992명에 그쳤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로 이동한 고객은 7만 8,342명에 달했지만, 비슷한 규모의 신규 유입이 발생하면서 전체 가입자 수는 사실상 보합세를 유지했다. 상반기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당시 수만 명대의 대규모 이탈과는 다른 모습이다.
![]() |
사진은 애플의 최신 모델 '아이폰17' 사전예약일을 하루 앞둔 지난달 11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KT플라자 앞. [사진=뉴스핌DB] |
이 같은 양상은 보조금 경쟁 부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 상반기부터 이어진 연쇄 해킹 사고로 인해 통신사들이 보안 강화에 집중하며 영업 비용을 줄였고, 연초 이미 연간 목표를 달성한 탓에 추가적인 마케팅 여력도 크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달 출시된 아이폰17 시리즈의 경우, 이통 3사가 책정한 공통지원금은 모델별 최대 45만 원, 매장 추가지원금은 기존과 다르지 않은 수준에 머물렀다. 여기에 6개월간 고가 요금제를 유지해야 하는 조건까지 붙으면서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은 제한적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KT의 위약금 면제가 변수로 꼽힌다. KT가 해킹 피해가 발생한 고객을 대상으로 해지 위약금 면제를 검토 중인 가운데, 고객 이탈과 해지 방어를 둘러싸고 보조금 경쟁이 다시 불붙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영섭 KT 대표는 앞서 열린 국회 청문회에서 "정보 유출 피해가 발생한 고객 2만 30명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고객들의 위약금 면제 여부는 최종 조사 결과를 보고 검토할 예정"이라고 전한 바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