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321억원 투입해 수소열차 실증사업 착수
경원선·교외선 51.3km 구간 확정
최고시속 150km, 주행거리 600km 검증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친환경 철도의 새로운 장을 연다. 경원선과 교외선을 수소전기동차 실증 노선으로 확정하고 2027년부터 시험 운행에 나선다.
![]() |
수소열차 실증 운행 노선도 [자료=국토교통부] |
30일 국토교통부는 '수소전기동차 실증 R&D 사업'의 실증 노선을 경원선 연천~백마고지역(21.0km)과 교외선 대곡~의정부역(30.3km) 구간으로 확정하고, 2027년부터 국내 최초로 수소열차 시험 운행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7년 12월까지 총 321억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것으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우진산전 등 7개 기관이 참여한다. 수소열차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기존 운영 노선에 충전·정비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험 운행을 통해 차량 성능과 운행 안전성을 종합 검증하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으로 지난 4월 착수했다.
국토부는 현장 조사, 전문가 기술 검토,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수도권의 대표적 비전철 노선인 해당 구간을 실증 노선으로 선정했다. 수소열차 시험 환경, 충전·정비 인프라 접근성, 장래 운행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현재 경원선(연천~백마고지)과 교외선(대곡~의정부)은 디젤열차가 운행 중이거나 투입 예정으로, 소음과 매연 등 취약점을 고려할 때 친환경 수소열차 전환 수요가 높은 노선으로 평가됐다.
실증 노선에는 최고 시속 150km, 1회 충전 주행거리 600km 이상의 성능을 갖춘 신규 개발된 수소전기동차 1편성(2칸)이 투입된다. 이 열차는 객차에 동력이 분산되고 양방향 운행이 가능한 중·근거리용(통근용) 모델로 설계됐다.
국토부는 2027년부터 약 1년간 7만km 이상 시험 운행을 실시해 차량 성능과 안전성, 시설물과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영업 운행에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차량 정비와 검수는 코레일 수색·청량리 차량기지에서 진행한다.
지역 교통 거점인 연천역(경원선)에는 내년까지 수소열차뿐 아니라 수소버스·승용차 등이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 수소충전소가 구축된다. 철도차량 유치선과 연접하고 도로 접근성이 우수한 역 유휴부지에 설치된다. 주변 주거·상업 시설과도 80m 이상 떨어져 있어 안전관리에 유리하다.
수소열차 실증 사업 주관기관인 코레일은 다목적 수소충전소의 신속한 구축과 안정적 운영을 위해 다음달 코하이젠, 연천군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에 따라 코레일은 수소열차 보급·운행 확대를 담당하고, 코하이젠은 충전소 설치·운영을 맡는다.
연천군은 부지를 제공하고 2033년까지 내구연한이 경과된 관용차량과 시내버스 등 123대를 수소차로 전환하는 계획을 지원한다. 철도 운영사·충전 사업자·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지역 수소 모빌리티 확산 기반을 마련하는 선도적 사업모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국토부는 실증 사업 종료 후 수소전기동차 3편성을 추가 제작·투입해, 실증 노선에서 운행 중인 노후 디젤열차를 단계적으로 친환경 수소열차로 전환한다. 정의경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철도 탄소중립 실현과 서비스 혁신은 물론, 급성장하는 글로벌 수소철도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수소열차 상용화를 앞당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관련 제도 개선과 기술개발 투자 등 필요한 지원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