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28일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 주재
13개 시스템 복구…GPKI 등은 시간 걸릴 듯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중단됐던 재정정보 시스템 중 일부를 긴급 복구하고 정상 가동에 들어갔다.
기획재정부는 28일 오후 4시 서울정부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고, 재정정보 시스템과 기재부 홈페이지 등 13개 시스템의 긴급 복구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구 부총리를 비롯해 윤석호 한국재정정보원장 등 약 20명이 참석했다.
이날 점검 결과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dBrain+)과 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e나라도움), 열린재정, e나라재산, 국세외수입포털 등 13개 재정정보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오후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를 방문해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사진=기재부] 2025.09.19 rang@newspim.com |
해당 시스템들은 관계부처·기관과의 시스템 연계 작업을 마치고 이날 오후 4시부터 정상 가동을 시작했다. e나라도움도 현재 정상 운영 중으로, 금융 인증서와 일회용 비밀번호(OTP) 등 다양한 접속 방법을 함께 안내하고 있다.
정부는 GPKI와 내부 결재 시스템 정상화에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고, dBrain+ 자체 이중 인증 시스템(ID·PW+OTP)과 자체 결재 체계를 가동해 업무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재정정보원은 현재 주말에도 운영하고 있는 dBrain+ 고객상담센터를 29일부터 2시간 추가 운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월말 국고금 수납과 자금 이체 등 재정정보 시스템의 모든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전망이다.
다만 기재부 대국민 홈페이지 등은 아직 복구되지 않은 상황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대국민 홈페이지 등은 아직 접속 불가한 상태로, 향후 국정자원과 협조해 빠른 시일 내 복구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
[인천=뉴스핌] 김학선 기자 = 27일 오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멈추며 주요 공공서비스가 중단되고 있다. 이날 우체국 예금·보험 등 주요 서비스가 전면 중단 됐다. 우체국 ATM 기기에 사용불가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09.27 yooksa@newspim.com |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