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도 마비
소방청 119 영상·문자 신고도 불가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멈추며 주요 공공 서비스가 잇따라 중단됐다. 우편 서비스까지 차질을 빚으면서 추석 연휴 택배 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로 인해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 대표적으로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일반 민원이 몰리는 시스템이 중단됐으며 행정안전부·기획재정부 등 핵심 부처 홈페이지도 접속 불가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 |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정부24 모바일 페이지 2025.09.27 sykim@newspim.com |
서울시 민원 서비스도 차질을 빚고 있다. 서울시는 27일 시 온라인 민원 홈페이지에 "간편인증 시스템 장애로 인해 간편인증이 불가능하니 공동인증서를 이용해 인증해 주시기 바란다"고 공지했다.
공무원들의 업무 불편도 발생하고 있다. 정부 부처에서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하지 못해 주말 업무를 위해 출근한 공무원들이 정상적인 업무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온나라시스템은 정부 부처 공무원들이 문서 작성, 결재, 메일 등 업무를 보는 행정망이다.
민생과 밀접한 부분에서도 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인터넷 우체국과 우체국 예금·보험 등 주요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면서 우편 및 택배 대란 가능성이 제기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이날 "동원 가능한 최대한의 자원을 활용해 조속히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우정사업본부는 배달 예정 소포를 오프라인 체계로 전환해 처리하고 있으며 배송 전용 단말기(PDA)를 활용해 인터넷 연결이 끊긴 상태에서도 일정 부분 배송이 가능하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다만 다음 주까지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을 경우 우편물 접수와 배송 전 과정이 오프라인으로 이뤄지게 돼 지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우체국 금융 서비스(입출금, 이체, 보험 지급 등)도 전면 중단됐으며, ATM 등 시스템 기반 거래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체국 예금·보험 자체의 계약 유지에는 직접적 영향은 없다.
국가물류통합정보시스템과 화물운송실적관리시스템 등도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전국 물류망 대란 우려도 확산하고 있다.
소방청은 119 신고체계가 전반적으로는 유지되고 있으나, 영상·문자 신고 및 웹 기반 신고 기능은 마비 상태라고 밝혔다. 즉각적인 재난 대응을 위해 유선 전화 신고만 가능한 상황이다.
다만, 일부 서비스는 대체 사이트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사이트 현황은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http://efamily.scourt.go.kr), '교통민원24' (https://www.efine.go.kr), '세움터'(https://www.eais.go.kr), '홈택스' (https://www.hometax.go.kr),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 '농업e지'(https://nongupez.go.kr) 등이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