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vs 영풍·MBK, 분쟁 1년 맞아 여전한 '전의' 밝혀
내년 3월 정기주총 앞두고 다시 여론전 시작
양측 이사 임기 만료 및 'MBK 리스크' 등 변수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지난해 하반기 산업계와 주식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 연합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이 1년을 넘었지만 여전히 극한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자리를 지키며 고려아연 경영권 방어에 성공했지만, 영풍·MBK 연합 이사진이 이사회에 진입해 있고 여전히 지분은 영풍·MBK 연합이 우위에 있어 내년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경영권 분쟁이 다시 점화될 가능성이 있다.
![]() |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사진=뉴스핌 DB] |
25일 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과 영풍 측은 최근 경영권 분쟁 1년을 맞아 각각 입장문을 내고 여론전에 나섰다.
고려아연은 입장문에서 "영풍·MBK 측이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 공격을 시작한 지 1년이 되도록 탐욕을 멈추지 않고, 왜곡과 짜깁기에 기반한 주장을 앞세워 또 다시 소모적인 소송전에 나섰다"며 "지금까지 지속해서 해왔던 행태를 또 다시 반복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고려아연을 수익 극대화의 수단과 대상으로 삼겠다는 저의를 숨기지 않고 있다는 것이 고려아연의 판단"이라며 "고려아연은 전 임직원이 합심해 제2의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환경오염 기업이라는 오명이 고려아연에서 재발하지 않도록 영풍·MBK 측의 적대적 M&A를 반드시 막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풍 측은 입장문에서 "최윤범 회장이 그 동안 보여준 경영 행태는 '나쁜 기업지배구조의 전형이자, 주주가치 훼손의 모든 것'"이라며 "고려아연의 지배구조가 바로 설 때까지 법과 시장의 원칙에 따라 정정당당하게 주주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영풍 측은 "2022년 말 최윤범 회장의 단독 회장 취임 이후 이사회 기능이 사실상 마비되고 비상식적인 투자가 회장 전결로 처리됐으며, 70년 간 이어진 동업 관계와 40년간 유지된 무차입 경영 기조가 붕괴됐고, 회사 자원이 회장 개인의 지배력 방어에 활용됐으며, 경영진의 위법 행태가 심화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시장 '썰'로만 거론되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은 지난해 9월 중순 영풍이 MBK와 손잡고 고려아연 주식을 주당 66만원에 공개매수하겠다고 공시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 |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우)과 강성두 영풍 사장(좌). [사진=뉴스핌 DB] |
고(故) 장병희·최기호 창업주가 공동 창업하며 두 일가가 70여년 간 공동 경영을 해온 고려아연은 최대주주는 영풍 장씨 집안이, 경영은 고려아연 최씨 집안이 맡아 왔다. 그러다 지난 2022년 3세인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회장직에 취임한 이후 '트로이카 드라이브' 등 공격적인 신사업 착수와 배당 등에 있어 의견 충돌이 생기며 갈등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에 경영권 확보에 실패했던 영풍이 MBK를 우군으로 영입해 2조원이 넘는 자금력으로 지분 확보에 나섰고, 최윤범 회장 측도 우호 세력을 규합해 맞불 공개매수를 시작했다. 한때 고려아연 주가가 150만원을 넘을 정도로 치열했던 경쟁적 공개매수 및 우호지분 확보 결과 지난 3월 기준으로 영풍·MBK 측의 지분은 약 40.97%, 고려아연 측의 지분은 약 34.35% 정도로 마무리됐다.
여전히 영풍·MBK 측 지분이 많지만 과반 지분 확보에는 실패했고, 또한 고려아연이 정기 주총에서 '순환출자 구조 형성에 따른 영풍의 의결권 봉쇄'라는 전략을 들고 나오며 최 회장의 경영권을 지키는 데는 성공했다.
그러나 정기 주총에서 강성두 영풍 사장 및 김광일 MBK 부회장 등 영풍·MBK 측 이사 3명이 이사회에 진입하며 적대적인 두 세력이 이사회에 참석하는 '불편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3월 정기 주총으로 경영권 분쟁이 일단락되는가 싶었지만 영풍·MBK 측이 최근 최 회장의 이그니오 인수 등 미국 투자 관련 이슈, 중간배당 논란 등을 거론하며 분쟁이 또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양측의 갈등은 이미 수차례 법정으로 가서 가처분 결과에 희비가 엇갈렸고 법적 다툼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지난 1년 간 양측이 상호 제기한 소송이 24건에 이른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분수령인 정기 주주총회가 열린 28일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 호텔에서 주주들이 주총장에 입장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5.03.28 yooksa@newspim.com |
업계는 결국 내년 정기 주총에서 다시 양측의 혈투가 재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변수로는 이사회 멤버 변동과 'MBK 리스크' 이슈가 거론된다.
정관 변경으로 현재 19명으로 늘어난 고려아연 이사회는 직무집행이 정지된 4명을 빼고 현재 고려아연 측 이사 11명, 영풍 측 이사 4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고려아연 측 5명, 영풍 측 1명 등 6명 이사가 내년 정기 주총을 맞아 임기를 마칠 예정이어서 후임 이사 선출을 두고 양측의 치열한 공방이 다시 오갈 전망이다.
또한 최근 산업계와 자본시장을 흔드는 주요 이슈에 MBK가 연루돼 있는 점도 변수다.
MBK가 대주주인 홈플러스 사태는 이미 지난 경영권 분쟁 기간에도 지속 거론돼 왔지만, 최근 발생한 롯데카드 해킹 사태에서 롯데카드의 대주주가 MBK라는 사실이 다시 부각됐다. 롯데그룹의 계열사였던 롯데카드는 롯데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2019년에 MBK·우리은행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최근 경영권 분쟁에서 의결권자문사들과 국민연금 등이 공개지지 선언을 하거나 입장을 분명히 하는 추세인 흐름은 영풍·MBK 연합에게 유리하지 않은 상황이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