엣지 AI 시장 정조준
300여개국에 서버 네트워크
빅테크와 차별화된 서비스
이 기사는 9월 25일 오전 11시4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사이버 보안 업체 클라우드플레어(NET)의 인공지능(AI) 혁신이 월가에 화제다.
인터넷을 빠르고 안전하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했던 업체가 이제 AI를 빠르고 안전하게 작동시키는 일로 새로운 먹거리를 찾았다.
2025년 초 이후 업체의 주가가 두 배 가까이 뛴 것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실적 향상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투자자들 사이에 신뢰를 얻은 결과로 풀이된다.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간판을 올린 클라우드플레어는 본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와 인터넷 보안을 주력 사업으로 출발했고, 지금도 관련 비즈니스를 지속하고 있다.
CDN은 웹사이트를 빠르게 로딩 시켜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여기에 해커들이 서버를 마비시키려고 공격할 때 이를 막아주는 DDoS 공격 방어와 웹 보안, 인터넷 주소창에 치는 도메인을 실제 서버로 연결해 주는 DNS 서비스가 클라우드플레어의 핵심 비즈니스다.
CDN 서비스와 인터넷 연결을 더 빠르고 안전하게, 그리고 신뢰할 수 있게 하는 역방향 프록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업체는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을 통해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네트워크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보호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
클라우드플레어 로고 [사진=블룸버그] |
업체는 AI 메가트렌드 속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았다. 시장 전문가들은 업체의 진짜 힘이 기술력 뿐 아니라 전세계 300여개 도시에 구축한 서버 네트워크에 있다고 말한다. 대규모 글로벌 서버 네트워크를 활용해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배치하고 고객들에게 엣지 AI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것.
경영진은 2024년 전체 네트워크가 GPU로 장착돼 최종 사용자들에게 더 가까운 곳에서 AI 추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업체의 인프라가 지연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AI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얘기다.
![]() |
클라우드플레어 CDN [자료=업체 제공] |
최근 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경영진은 고객들이 클라우드플레어의 네트워크에서 이미 AI 모델을 실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비싼 하드웨어에 투자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AI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른바 워커스 AI 서버리스 GPU(Workers AI Serverless GPU)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견고하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실제로 고객들은 업체의 워커스 AI 플랫폼에서 50개 이상의 AI 모델에 접근해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클라우드플레어 네트워크에 대용량 데이터셋을 저장할 수도 있다. 중요한 점은 워커스 AI가 사용량 기반 요금제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해 고객들이 구독 계약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같은 소비자 친화적 모델은 사용자들 사이에 커다란 인기를 끌고 있다. 정기 구독에 묶이지 않는 데다 클라우드에서 AI 추론을 실행하려는 기업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업체는 2분기에만 워커스 AI 플랫폼에 대한 수 백만 달러 규모 계약을 다수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분기 미이행 성과 의무(RPO)가 전년 동기 대비 39% 급증하며 금액 기준으로 20억달러에 이른 데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클라우드플레어의 2분기 RPO가 매출액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난 데 커다란 의미를 둔다. 2분기 매출액은 5억1200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28% 증가했다.
RPO 증가폭이 매출 상승률을 앞지른 데 대해 월가는 업체가 빠른 속도로 신규 계약을 확보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중장기적으로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가능성을 점친다. 고성장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이미 갖췄다는 얘기다.
시장 자체에 대한 장밋빛 전망도 클라우드플레어의 향후 실적을 낙관하게 한다.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는 엣지 AI의 수요가 2032년까지 연평균 33%에 달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연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GPU 기반의 AI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에 대한 수요가 거대한 만큼 클라우드플레어의 수익 파이프라인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기대한다.
월가는 업체의 비즈니스 재편에 커다란 흥미를 보인다. 기본의 CDN과 보안 서비스를 위해 구축한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를 AI 시대에 맞춰 GPU로 업그레이드 하고, 이를 통해 엣지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이 이미 커다란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다.
업체의 워커스 AI 플랫폼은 빅테크와 크게 차별화 된다. 아마존의 클라우드 사업 부문인 아마존웹서비스(AWS)나 구글 클라우드처럼 중앙집중식이 아니라 소위 분산형으로 구동하기 때문.
이른바 '서버리스'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하드웨어에 대한 부담 없이 AI 기능만 사용 가능하다는 데서 커다란 강점을 갖는다.
클라우드플레어의 플랫폼이 혁신적인 이유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지연 시간의 단축이다. 가령, 서울의 사용자가 AI 서비스를 이용할 때 미국 서버를 거치지 않고 가장 가까운 서버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다.
두 번째, 진입 장벽이 낮다. 고가의 GPU 서버를 구매하지 않고도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마지막으로 사용만 만큼만 결제가 가능하다는 점도 사용자들 사이에 인기를 끄는 이유다.
전세계에 구축한 인프라와 사이버 보안 부문의 기술력, 여기에 주요국 곳곳을 포괄하는 커버리지까지 클라우드플레어가 커다란 경재 우위를 갖췄다는 데 월가는 입을 모은다.
지난 수 년간 업체의 매출액은 가파르게 늘어났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2020년 4억3106만달러를 기록한 매출액은 2024년 16억7000만달러로 껑충 뛰었다. 2025년 2분기에도 업체의 매출액은 5억1232만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비해 약 28% 급증했다.
하지만 업체는 아직 흑자 전환을 이루지 못한 상태다. 2024년 업체는 7880만달러의 손실을 냈고, 2025년 2분기에도 5045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연간 적자 규모는 2020년 1억1937만달러에서 2021년 2억6031만달러로 늘어난 뒤 지난해 상당폭 감소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클라우드플레어가 매출 급성장에도 여전히 손실을 내는 데 대해 대규모 투자를 배경으로 지목했다.
영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인프라 투자와 연구개발(R&D)에 대규모 투자를 강행하고 있어 흑자 전환을 이루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업체가 순이익을 내지 못하지만 현금흐름 기준으로는 흑자를 내고 있다는 데 의미를 두는 모습이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