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9월 17일 오전 10시2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AI 번역에 기반해 생산된 콘텐츠로, 9월 16일자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기사를 인용하였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당국이 이어지는 소비 부진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를 우려해 서비스 중심의 소비 진작 정책(이하 정책)을 내놨다.
이번 정책은 지난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8월 소매판매 지표가 시장의 전망을 밑돌며 지속적인 둔화 흐름을 보인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전자상거래∙백화점∙슈퍼마켓∙일반 소매점 등의 매출을 합산한 사회소비품소매총액(소매판매)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지난 5월 6.4%를 찍은 이후 6월 4.8%, 7월 3.7%, 8월 3.4%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 |
[사진 = 중국 국가통계국] 사회소비품소매총액(소매판매)의 월간 성장률 추이. |
9월 16일 상무부 등 9개 부처가 발표한 '서비스 소비 확대에 관한 몇 가지 정책 조치(이하 조치)'에는 △서비스 소비 촉진 플랫폼 조성 △고품질 서비스 공급 확대 △서비스 소비 신규 수요 창출 △재정·금융 지원 강화 △통계·모니터링 제도 개선 등 다섯 가지 영역에서 총 19개의 세부 조항이 담겨있다.
이번 조치를 마련한 배경과 관련해 왕원타오(王文濤) 상무부 부장은 "서비스 소비의 가장 큰 모순은 주로 공급 측면에서의 일부 부족, 더 정확히 말하면 고품질 서비스 공급의 부족에 있다"면서 "대내외 개방을 통해 공급 측 고품질 서비스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개 세부 조항의 핵심 내용에는 인터넷·문화·의료·교육 등 분야의 개방 확대, 문학·예술·영상·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제작 지원, 박물관·극장·미술관 등을 활용한 문화 소비 촉진, 박물관·관광지 운영시간 연장 및 예약 절차 간소화, 국내외 주요 스포츠 대회와 맞춤형 이벤트 도입을 통해 체육 소비 촉진, 장기요약보험 제도 확대 및 요양·가사·돌봄 종사자 교육과 직업훈련 강화, 중·고급 의료 및 레저·휴가 등 분야의 시장 진입 완화, 제약적 조치 축소를 통한 외국인 투자 및 민간 자본의 진입 확대 등이 포함된다.
재정·금융 지원과 관련해서는 중앙∙지방 자금을 활용한 문화∙관광∙요양∙체육 인프라 건설 지원, 서비스 소비 기업 투자에 대한 민간자금 유치 및 서비스 무역 혁신기금 활용, 금융기관의 서비스업 관련 대출 확대 및 맞춤형 금융상품 개발, 지방정부의 위험보전기금 및 대출 이자보조 등을 통한 소비금융 활성화 추진 등의 세부적 조치가 마련됐다.
![]() |
[베이징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중국 베이징시 천단공원(天壇公園)에 몰린 관광객 인파. |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