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재판부 구성 개입하면 판결 신뢰 어려워" 지적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내란 특별 재판부를 설치해야 한다는 정치권 주장에 대해 사법부 독립 훼손이 우려돼 신중해야 한다는 시민단체 주장이 나왔다.
시민단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6일 발표한 성명에서 "내란 사건 재판의 공정성과 신뢰 확보라는 국민적 요구에는 깊이 공감한다"며 "내란죄는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중대한 범죄로 재판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는 절대적"이라고 밝혔다.
![]() |
경실련 로고. [사진=고다연 기자] |
경실련은 이어 "그러나 사실 특별재판부는 사법부 독립 원칙을 흔들 수 있다는 점에서 절제와 신중함이 필요하다"며 "재판부 배당의 무작위성은 사법 독립과 공정성의 핵심인데 외부 기구가 판사 선발에 개입해 특정 사건 전담 재판부를 두는 것은 위헌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헌법이 예정하지 않은 재판부 설치가 반복되면 사법 신뢰를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 주권과 입법부 권한을 근거로 위헌이 아니라고 주장했으나 민주주의는 다수의 의지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며 "정치권이 재판부 구성이나 사건 배당에 개입하면 국민은 판결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특별재판부 설치는 정치적 논란도 불러올 수 있다"며 "전직 대통령 내란 사건과 같은 민감한 사안에서 특별재판부를 도입하면 정치적 편향 논란을 피하기 어렵고 진행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 역시 특별재판부로 이관될 경우 불필요한 정치적 파장을 키울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제도가 선례화되면 다른 정치 사건에도 남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더불어민주당에 대해서는 "절제의 미를 발휘해 내란 종식에 앞장서되 사법부 독립과 헌법적 정합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것을 촉구한다"며 "이미 진행 중인 재판의 연속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존중하면서 구체적으로는 재판 공개와 투명성 확대, 판결문 전원 의견 기재 등 제도적 장치를 통해 공정성과 신뢰 확보에 힘써야 한다"고 전했다.
gdy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