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플러스에 '컬리N마트' 연동·2만 원 이상 무료배송
새벽배송·콜드체인, 네이버 판매자에게도 개방
AI 개인화 추천 강화, 블로그·카페 탐색 이력까지 반영
스토어 멤버십 솔루션 확대, 단골 경험 전면 강화
내년 말 단골 관계 10억 건 달성 목표…물류 효율·매출 증대 기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와 컬리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커머스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한다. 양사는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이용자 중심의 단골 경험을 고도화하고, 판매자에게는 물류·마케팅 기회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상호 보완적 성과를 추구한다. 네이버는 멤버십·트래픽·인공지능(AI) 추천과 플랫폼 전면 노출을 강점으로, 컬리는 새벽배송·콜드체인·큐레이션 역량을 무기로 내세운다. 이번 협력으로 '컬리N마트'가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연동되고, 2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혜택이 제공된다.
9일 서울 종로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with 컬리' 행사에서 양사는 파트너십 성과와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현장에는 이윤숙 네이버 쇼핑사업 부문장, 정경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프로덕트 리더, 김슬아 컬리 대표가 직접 참석해 전략과 비전을 공유했다.
네이버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생활밀착형 '장보기' 카테고리에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그동안 대용량 중심의 상품군이 주를 이뤘던 네이버 장보기에 컬리의 소용량·신선식품이 더해지며 소비자 선택지가 넓어졌다. 플랫폼 홈·검색·장바구니 등 핵심 동선에서 '컬리N마트'가 전면 노출되면서 구매 전환율과 재구매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
9일 서울 종로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with 컬리' 행사 현장. [사진=네이버] |
이윤숙 네이버 쇼핑사업 부문장은 "얼라이언스 모델을 통해 파트너사의 단골력을 확대하고, 네이버 안팎에서 더 많은 충성 고객을 만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컬리와의 협업은 네이버 장보기 서비스에 신선식품 경쟁력을 더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앞으로도 빅브랜드와의 협력을 확대해 생활 전반에서 단골 경험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컬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네이버의 방대한 트래픽과 정교한 개인화 기술을 발판 삼아 신규 고객층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됐다. 기존 충성 고객층 외에도 네이버 생태계 내 대중적 이용자들에게 브랜드를 알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슬아 컬리 대표는 "10년간 축적한 콜드체인과 큐레이션 역량에 네이버의 데이터와 마케팅 인프라가 결합하면 온라인 장보기의 새로운 경험을 만들 수 있다"며 "컬리의 새벽배송 인프라를 네이버 판매자에게 개방해 더 많은 소상공인도 성장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네이버라는 전국민 플랫폼과 결합해 컬리의 도달 범위를 크게 확대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해 더 많은 파트너사와 재무적 성과를 공유하겠다. 이 같은 양사 협력은 단순 배송을 넘어 브랜드와 고객을 연결하는 새로운 길을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
![]() |
9일 서울 종로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with 컬리' 행사 현장. 이윤숙 네이버 쇼핑사업 부문장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네이버는 AI 기술을 활용해 커머스 부문의 고도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정경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프로덕트 리더는 "검색·구매 이력뿐 아니라 블로그·카페 탐색 이력 등 다양한 데이터를 동의 기반으로 수집해 개인화 추천을 강화할 것"이라며 "AI 쇼핑 에이전트를 통해 '무엇을, 언제, 어떤 혜택으로 살지'까지 안내하는 지능형 쇼핑 경험을 구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추천 알고리즘을 단순 상품 추천에서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하겠다"며 "판매자 신뢰도 지표를 추천 체계에 반영해 이용자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단순한 협력이 아닌 구체적인 성과 목표를 담고 있다. 네이버는 올해 상반기 기준 판매자와 소비자 간 형성된 단골 관계가 약 8억 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내년 말까지 이 수치를 10억 건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이윤숙 부문장은 "단골 라운지 회원은 객단가와 재구매율이 일반 고객보다 높아 실제 매출에 직접 기여한다"며 단골 기반 생태계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컬리 역시 네이버 플랫폼을 통해 늘어난 물동량을 기반으로 물류 효율을 높이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재무적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 |
9일 서울 종로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with 컬리' 행사 현장. 정경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프로덕트 리더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김슬아 대표는 "예상보다 빠르게 (네이버와의) 협력이 진행됐다"며 "돈으로 하는 결합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이용자와 판매자가 오래 머물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 속도감 있게 서비스를 선보인 만큼 앞으로의 성과를 지켜보며 더 큰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자신했다.
이윤숙 부문장도 "컬리와의 협업은 단순한 제휴를 넘어 생활밀착형 쇼핑 경험을 한 단계 높이는 과정"이라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중심으로 한 충성 고객 생태계를 더욱 키워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경화 리더는 "블로그·카페 등 콘텐츠 탐색 이력까지 반영한 맥락형 추천을 통해 구매 시점에 가장 적절한 혜택과 상품을 안내할 것"이라며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이용자의 구매 여정을 더 세밀하게 지원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라며 향후 서비스 방향을 소개했다.
![]() |
9일 서울 종로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네이버 커머스 밋업 with 컬리' 행사 현장. 김슬아 컬리 대표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한편, 네이버는 향후 멤버십 확장 전략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오는 30일을 목표로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 우버 택시의 멤버십 '우버 원(Uber One)'을 네이버플러스 멤버십과 연계한다. 이 부문장은 "네이버플러스는 단순 쇼핑 멤버십이 아니라 웹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모빌리티까지 포함하는 생활형 멤버십"이라며 "이용자들이 네이버 생태계 안팎에서 더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