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은 대표, 안정적 소득·공동체 경험 강조
차별화된 유입 전략·'일자리 판' 필요성 제기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저출산대응 정책연구모임'은 지난 3일 '청년 지역이동과 정주 요인'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날 의원연구단체 소속 시의원들과 청·장년 토론자들이 함께 참석했으며, 강연자로 나선 송명은 청춘발산마을 대표는 부산의 인구감소 현실과 청년들의 인식, 정주 여건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청춘발산마을'은 광주시 서구에 위치해 있으며, 2015년 도시재생 사업 후 청년 협동조합이 중심이 돼 빈집을 리모델링하고, 청년·어르신 협력 사업과 문화·창업 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 |
부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저출산대응 정책연구모임'가 지난 3일 시의회에서 청·장년 토론자들과 함께 '청년 지역이동과 정주 요인'을 주제로 간담회 열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부산시의회] 2025.09.04 |
송 대표는 강연에서 "청년들이 지역에 남는 힘은 지원금이 아니라, 관계와 네트워크"라며 청년 정주 요인으로 ▲안정적인 소득 구조 ▲사회적 응원의 문화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 경험 등을 꼽았다.
이후 참석자들은 부산의 청년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한 해법을 논의했다. 부산을 국제도시로 성장시키기 위해 ▲영어 공용화, 기업 친화적 환경 조성 ▲특산물 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 개발 ▲청년 아이디어와 노인 노동력의 결합 모델 등이 주요 대안으로 언급됐다.
또 '서울을 모방해서는 인구 유출을 막을 수 없다'는 지적과 함께, 부산만의 차별화된 유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최영진 대표의원은 "논의의 핵심은 청년이 단순히 머물 '일자리'가 아니라, 머무르고 싶어지는 '일자리 판(일판)'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라며 "지역 공동체와 청년이 함께 호흡하는 정책을 통해 부산을 청년이 떠나지 않는 도시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