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전국 의료기관 비급여 가격 공개
278개 의료기관 가격 편차도 대폭 '증가'
도수치료 비용 '3000원부터 30만원까지'
임플란트 최고 금액, 병원급서 11% 인상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도수치료 비용이 병원급 의료기관마다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소 3000원에서 최대 30만원까지 최대 100배 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의료기관별 2025년 비급여 가격을 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공개했다.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공개제도는 의료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 정보를 공개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제도다. 올해 비급여 항목 가격 공개 대상은 의료기관 693개다.
◆ 비급여 367개 평균 가격 인상…도수치료 가격 100배 차이
조사 결과, 지난해와 올해 비급여 항목 571개 중 367개(64.3%)의 평균 가격이 인상됐다. 278개(48.7%) 기관 간 가격 편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올해 도수치료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대비 1.3% 인상됐다. 지난해 도수치료 전체 의료기관의 평균 금액은 약 10만7000원이었는데 올해 약 10만8000원으로 1.3%p(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병원급에서 올해 도수치료 최저 금액은 3000원인 반면 최고 금액은 30만원으로 가격 편차가 최대 100배까지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족저근막염, 외측 상과염 등을 치료하기 위해 체외에서 충격파를 가해 통증을 감소하는 체외충격파치료 평균 금액은 지난해 약 7만5000에서 올해 약 7만6000원으로 1.6%p 늘었다. 올해 체외충격파 치료 비용은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최저 10만원부터 최고 31만9000원까지로 최대 3.2배 차이가 난다.
예방접종 폐렴구균도 치과병원을 제외한 대부분 기관에서 평균 금액이 인상됐다. 지난해 예방접종 폐렴구균 평균 금액은 약 11만7000이었는데 2.1%p올라 올해 평균 금액은 약 12만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체외충격파 치료 비용은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최저 1만8000원부터 최고 18만원까지로 최대 10배 차이가 난다.
◆ 임플란트, 병원급 최고 금액 11% 인상…안과 질환 검사, 병원별 가격 차이 커
반면 임플란트 평균 금액은 지난해 17만2700원에서 올해 17만1500원으로 0.7%p 낮아졌다. 그러나 병원의 최고 금액 인상 폭이 11.1%에 달했다.
올해 신규 공개하는 비급여 항목 중 백내장 등 안과질환 진단에 실시하는 샤임프러그 사진촬영 검사가 의료기관별 가격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임플란트 비용은 최저 30만원에서 최대 461만원으로 15.4배 차이가 난다.
신규로 공개되는 비급여 항목의 의료기관별 가격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진료비용 현황에 따르면 백내장 등 안과질환 진단에 실시하는 샤임프러그 사진촬영 검사의 평균 금액은 12만6000원이다. 병원급 의료기관 간 최저 금액과 최대 금액 차이는 33배로 가장 컸다. 상급종합병원은 25배, 종합병원 15배, 의원급은 8.25배다.
![]() |
비급여 항목의 최저 금액과 최고 금액 차이가 큰 이유에 대해 심평원은 의료기관 간 진료 기준, 난이도, 인력·장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예를 들어 도수치료 비용이 3000원인 경우 치료 시간이 10분이지만 30만원으로 책정된 도수치료 시간은 약 1시간에 달해 가격 비교 시 다양한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심평원은 합리적인 비급여 선택을 위해 홈페이지에 의료기관 간 비급여 가격을 공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치료 시간에 따른 금액, 동일 지역의 중간 금액 등이 나와 있어 병원의 비급여 가격 수준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권병기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소비자·의료계 등 여러 분야의 의견 청취를 통해 국민의 비급여 진료 선택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비급여 가격 공개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