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대피 효율성 강화…단계별 운영체계 구축
독립형 숙박 공간, 사생활 보호·심리적 안정 도모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창원시는 기후위기 심화로 인한 극한 호우 등 대형·장기 재난이 잦아짐에 따라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해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을 기존 246곳에서 289곳으로 확대 정비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재난 발생 시 이재민의 신속한 대피와 안정적인 생활 지원을 목표로 지난 6월부터 전 읍·면·동 합동 전수조사 및 현장 점검을 통해 추진됐다. 단계별 운영체계 구축, 수용능력 재산정, 시설 유형 다양화에 중점을 두었다.
![]() |
경남 창원시 의창동행정복지센터에 설치된 임시주거시설 표지판 [사진=창원시] 2025.09.01 |
임시주거시설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된다. 우선 즉시대피형인 1단계는 총 53개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지정했으며, 상남동과 태백동은 인근 경로당을 활용해 재난 발생 시 즉각 가동한다. 이를 통해 생활권 내 신속한 대피와 행정복지서비스 원스톱 제공이 가능하도록 했다.
2단계인 장기체류형은 체육관, 연수시설, 민간 숙박시설 등을 활용해 대규모 또는 장기간 체류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거주 환경을 마련했다. 특히 이순신리더십국제센터와 경남대학교 옥계연수원 등은 독립형 숙박 공간을 갖춰 사생활 보호와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준다.
최영숙 창원시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재난이 증가하는 가운데 실효성 있는 임시주거시설 확보가 시민 생존권 보장의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체계적 관리와 내실 있는 운영으로 시민 안전 지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올해 초 자체 제작·비축한 재해구호물자 424개를 포함해 지속적인 시설 점검과 보완 작업에 나서며 시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재해구호 대응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