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K-교통 얼라이언스 발족식
'교통기본법' 제정, 모빌리티 혁신 성장 전략 등 추진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수도권과 지방 사이 교통 격차 등 당면한 교통 문제를 해소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열린다.
![]() |
K-교통 얼라이언스 구성도 [자료=국토교통부] |
1일 국토교통부는 '민·관 합동 K-교통 얼라이언스'(이하 '얼라이언스')가 출범한다고 밝혔다.
최근 수도권-비수도권 교통 격차, 교통약자와 교통소외지역 주민의 이동 불편 해소 등에 대한 국민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방향 전환과 함께 AI(인공지능) 등 기술혁신을 이끌어 갈 민간기업과 유관기관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정부는 국민의 보편적 이동권을 보장하고자 '교통기본법' 제정을 통해 교통 소외지역과 교통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 방향을 마련한다. 동시에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도 연내 수립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산·학·연 등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실제 현장에서 체감 가능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민간·지자체 등과 긴밀한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에 출범하는 얼라이언스는 국토교통부와 현대자동차가 공동 주관한다. 교통격차 해소, 교통안전 강화, 교통 데이터 협력 강화,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 등 네 가지 전략 하에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문제를 정책 과제로 설정해 민간과 정부가 이를 함께 해결할 방침이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학계뿐 아니라 교통·통신·물류·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민간 기업도 참여한다. 관심 있는 기업 및 기관은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미래 모빌리티 분야는 2023년 2월 구축돼 올해로 3년차를 맞이하는 모빌리티 혁신 포럼과 연계해 성장 전략을 마련한다.
강희업 국토부 제2차관은 "교통은 이제 단순 인프라가 아닌 국민의 일상이자 삶을 연결하는 필수 서비스로서 국민은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으로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사회를 위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