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교보생명의 공익재단인 대산문화재단은 지난 28일 광화문 교보빌딩 대산홀에서 '2025 대산창작기금 및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 증서수여식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대산창작기금과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은 재단의 핵심사업으로 재단 창립 후 1993년부터 꾸준히 시행해왔다.
대산창작기금은 역량 있는 신진 문인들을 발굴해 창작 의욕을 격려하고 한국문학의 토대를 튼튼히 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시(시조), 소설, 희곡, 평론, 아동문학(동시, 동화) 등 총 5개 장르에 걸쳐 등단 10년 이하인 신진 문인을 수혜자로 선정한다. 올해 공모에는 총 852건이 접수됐으며 이중 9건이 수혜작으로 선정됐다. 재단은 부문별 수혜자에게 각 1000만원 및 증서를 수여한다. 대산창작기금은 지금까지 누적 337명의 수혜자를 배출했으며 298권의 도서가 출간되었다.
![]() |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28일 서울 종로구 교보생명빌딩에서 열린 '2025 대산창작기금 및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 증서수여식'에서 신창재 대산문화재단 이사장(뒷줄 맨 오른쪽)과 대산창작기금 수혜자(앞줄) 및 심사위원(뒷줄)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산문화재단] 2025.08.29 yunyun@newspim.com |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은 한국 문학을 세계에 소개하기 위해 외국어 번역 및 연구, 출판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매년 다양한 한국문학을 다양한 언어로 소개, 보급하면서 우리 문학을 세계인이 함께 읽는 세계의 문학으로 자리 잡게 하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올해에는 총 120건이 접수됐으며 이 가운데 15건의 지원대상작에 약 2억원을 지원한다. 시행 이후 지금까지 668건을 지원했으며 408종의 도서가 해외에서 출판됐다.
신창재 대산문화재단 이사장은 "한국문학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은 좋은 작품과 우수한 번역이 만났을 때 세계의 독자들 역시 감응할 것이라는 재단의 오랜 가치를 확신으로 바꿔주었다"며 "재단은 '가장 소중한 문학적 경험을 전하는 문화재단'이라는 비전과 함께 우리 문학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증서수여식에는 창작기금 수혜자 ▲시 부문 김석영 · 지관순 ▲소설 부문 임선우 · 임지지 ▲희곡 부문 이세희 ▲평론 부문 이희우 ▲아동문학 박소이 · 윤슬빛 등이 참가했으며 번역 및 연구출판지원 수혜자 ▲영어권 배솔이 · 정은귀 · 페이지 모리스 ▲불어권 김시몽 ▲독일어권 윤상아 ▲스페인어권 알바로 트리고 말도나도 · 파올라 디에스 시돈차 · 한서아 ▲일본어권 마키노 미카 · 박경희 ▲이탈리아어권 마우리치오 리오토 등이 참석했다.
대산창작기금과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의 각 부문별, 어권별 심사위원도 함께 참석해 올해 선정된 대상자들을 축하해주었으며, 식을 마친 후에는 다과회를 통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고, 소감을 공유하는 등 네트워킹의 시간을 가졌다.
한편 올해 선정된 대산창작기금의 지원대상작은 1년 이내에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며,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의 지원대상작은 1년 이내에 번역을 마친 뒤 해당 국가에서 해외 독자들과 만나게 된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