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9일 국무회의서 '2026년 예산안' 의결
첨단기술 A·B·C·D·E·F 6대 분야 집중 지원
100조원 국민성장펀드로 스케일업 생태계 구축
첨단인력 3.3만명 확보 위한 3대 프로젝트 본격화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정부가 신산업 혁신에 사상 최대 규모 예산을 쏟아붓는다. 연구·개발(R&D) 예산은 역대 최고치에 달한다. 신산업 분야 역시 최대 규모를 투입해 AI·바이오·방산 등 첨단기술의 글로벌 패권 경쟁에 본격 뛰어든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6년도 예산안'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에 신산업 혁신을 위한 예산을 올해 36조4000억원에서 44조30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이 중 연구개발(R&D) 예산은 29조6000억원에서 35조3000억원으로 역대 수준인 19.3% 증가했으며, 신산업 분야 예산도 6조8000억원에서 9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 AI·바이오 등 첨단기술 분야 대폭 투자 확대
정부는 인공지능(AI), 바이오, 콘텐츠, 방산, 에너지, 제조 등 A·B·C·D·E·F 6대 첨단산업 분야에 8조원에서 10조6000억원까지 집중 투자한다고 밝혔다.
![]() |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2026년도 예산안'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확정했다. 2025.08.29 biggerthanseoul@newspim.com |
분야별로 살펴보면 AI 부문에서는 피지컬 AI 5대 선도사업과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에 1조1000억원에서 2조2000억원으로 투입한다. 바이오 분야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와 AI 모델을 활용한 항체 개발·실증에 1조3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을 배정했다.
방산 분야에는 보라매(KF21), L-SAM-II, 핵심부품 국산화 및 국산 엔진 개발에 3조1000억원에서 3조7000억원으로 투자한다. 에너지 분야는 SiC반도체, 태양광유리, LNG 화물창 등 핵심기술 개발·상용화에 2조2000억원에서 2조6000억원을 지원한다.
민간 연계 지원도 대폭 강화된다. 기술창업지원(TIPS) 사업은 2025년 6412억원에서 2026년 1조1064억원으로 확대되며, 지원 기업 수도 846개에서 1240개로 늘어난다. 기업당 지원 금액은 일반 기업 5억원에서 8억원, 스케일업 기업은 12억원에서 30억원까지 확대된다.
◆100조원 국민성장펀드로 유니콘 기업 육성
신산업 분야에는 5년간 100조원 이상의 국민성장펀드를 신규 조성한다. 2026년 단년도로는 1조원을 우선 배정하며, AI·반도체·바이오 등 미래전략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 |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2026년도 예산안'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확정했다. 2025.08.29 biggerthanseoul@newspim.com |
모태펀드 출자 규모도 2025년 9896억원에서 2026년 1조9997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려 유망 중소·벤처 기업의 스케일업을 적극 뒷받침한다. 신규 첨단산업 유니콘 육성에는 6000억원, 재창업 기업 재도전 지원에는 100억원에서 800억원을 투입한다.
첨단인력 확보를 위한 3대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된다. 첨단분야 인재양성 사업군 예산은 2025년 9634억원에서 2026년 1조4386억원으로 증액되며, 국내 인재양성 2만7000명에서 3만1000명, 해외인재 유치 640명(5년간 2000명), 우수인력 유출방지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된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