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한웅 기자 = 전국적으로 대형 평형 아파트 값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는가 하면, 청약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모습이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전국 기준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지난 5년간('20년~'24년) 무려 19.32% 오르며 주택형별 가격 오름폭이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60㎡ 이하와 60~85㎡ 아파트가 각각 7.69%, 5.91% 오른 것과 비교했을 때 최대 3배 차이다.
청약 시장에서도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는 높다. 7일 기준 올해 상반기(1월~6월) 전국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아파트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2.46대 1로 유일하게 두 자릿수 경쟁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60㎡ 이하와 60~85㎡가 각각 6.52대 1, 8.0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개별 단지로 보면 선호도가 더욱 뚜렷하다. 올해 5월 경기도 화성시에 분양한 '동탄 포레파크 자연앤 푸르지오' 전용면적 142㎡ 타입은 1순위 평균 284.3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7개 타입 중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올해 3월 충남 천안시 서북구 일원에 분양한 'e편한세상 성성호수공원' 전용면적 105㎡ 타입은 1순위 평균 61.26대 1의 경쟁률로 전체 9개 타입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이에 대해 최근 대형 평형의 새 아파트 공급이 뜸해지면서 희소성이 높아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중소형 평형의 경우 젊은 세대 또는 다주택자가 주로 매입했던 만큼 금리나 대출 규제의 영향을 받고 있는 반면, 실수요가 받쳐주는 중대형 평형의 경우 시장 상황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해 대형 평형 공급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분양했거나 분양 예정인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아파트는 총 1만 2286가구(임대 제외)로 집계가 시작된 지난 2000년 이후 최저치다. 이는 전년('24년) 분양 물량 3만 2417가구(임대 제외)의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내년 입주 예정인 대형 평형 물량 역시 총 1만 7602가구(임대 제외)로 집계가 시작된 199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대형 평형의 경우 공급 부족에 따른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어 왔고,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맞물리면서 집값이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라며 "분양과 입주 모두 최저치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희소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대형 평형의 인기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 |
[사진=더샵 신문그리니티 2차] |
이러한 가운데, 대형 평형을 공급하는 신규 단지가 눈길을 끈다. 포스코이앤씨는 8월 김해시 신문1지구 도시개발구역 A17-1블록에 '더샵 신문그리니티 2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6개 동, 전용면적 84~93㎡ 총 695세대로 구성된다.
이중 전용면적 93㎡의 대형 평형 30세대가 공급돼 수요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 타입의 경우 개방형 발코니 설계를 도입해 실내 개방감을 높이고 외부 조망을 한층 더 여유롭게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전용면적 84㎡ 전 타입의 경우 알파룸, 안방 드레스룸, 현관 창고를 마련해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특히 드레스룸을 확장하여 수납 효율을 확보했고, 주방 창도 확대해 통풍 및 환기 효과를 높였다.
단지는 전 세대가 남향 위주로 배치되어 풍부한 채광과 쾌적한 생활 환경을 누릴 수 있다. 특히, 단지 바로 남측이 고층 건물이 들어설 수 없는 단독주택 용지로 계획되어 있어 막힘없는 영구 조망을 확보했으며, 전 가구에 유리 난간이 시공돼 개방감을 높였다.
whit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