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용인테크노밸리 일반산업 46필지 중 45필지 분양
지곡 일반산단 곧 임박…원삼·원삼2·제일 산단도 속도
[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에 조성 중인 제2용인테크노밸리 일반산업단지 산업시설용지 분양률이 98%를 기록하는가 하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효과'로 관련 일반산업단지 사업에도 속도가 붙는다.
24일 시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502조 원을 투자하는 반도체 국가첨단 전략산업특화단지 3곳을 중심으로 세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중이다.
이 가운데 처인구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SK하이닉스 122조 원 투자) 첫 번째 팹(Fab) 공사를 지난 2월 24일 시작했고,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삼성전자 360조 원 투자) 보상 절차도 시작하면서 국내외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업체가 속속 용인으로 모여드는 상황이다.
![]() |
용인시 반도체 관련 일반산업단지 위치도. [사진=용인시] |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인근에 조성 중인 제2용인테크로밸리 일반산업단지는 현재 공정률 15%가량인데, 산업시설용지를 포함해 분양 대상인 46개 필지 가운데 45개 필지(19만 2124㎡ 중 17만 9164㎡)를 분양했다.
이곳엔 세계 반도체 장비업체인 도쿄일렉트론코리아가 새로운 사업장을 설치하려고 5만 3292㎡를 분양받는가 하면 다수의 반도체 기업이 분양 계약을 체결했다.
사업이 장기간 지연됐던 인근 일반산단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효과로 사업 진행에 탄력이 붙는 형국이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인근에 조성하는 원삼 일반산단과 원삼2 일반산단은 초기에 플라스틱 제조업을 포함한 다수 업종의 기업을 유치하는 계획을 세워 사업이 장기간 늦어졌으나 반도체 기업이 속속 진입 계획을 밝히면서 사업이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다.
당초 GS에너지를 비롯한 화학업종 기업이 입주를 타진했던 이들 산단은 도쿄일렉트론코리아와 ㈜에스티아이, 나노엑스코리아 같은 반도체 기업이 대체했다.
도쿄일렉트론코리아는 원삼 일반산단 4만 5069㎡에 9개 동, 건축총면적 6만 1788㎡ 규모 R&D센터(TEL Technology Center Korea-Y)를 9월 착공할 예정이다. 에스티아이는 앞서 2020년 이곳에 제2공장을 부분 준공해 가동 중이다.
세계 반도체 장비업체인 램리서치의 한국법인과 ㈜서치앤델브가 입주한 기흥구 지곡동 지곡 일반산단의 경우 기반시설 조성을 마무리한 데다 입주기업에 시설 인계까지 끝내 조만간 준공할 예정이다.
양지면 제일 일반산단 역시 ㈜테스와 ㈜피티씨, ㈜에스엔씨솔루션 같은 반도체 기업을 주축으로 조성 공사가 80% 이상 진행 중이다.
이처럼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인근 일반산단 사업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시는 원활한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산업용지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는 제2용인테크노밸리 후속 사업 형태로 추진하는 용인반도체 협력 일반산단에 대해 올해 안에 국토교통부 산업단지계획 승인을 신청하도록 인허가에 필요한 행정 절차를 밟는 상황이다.
원삼면 죽능리 578의 1 일대에 조성할 산단은 26만 378㎡ 규모로 지난 2023년 7월 경기도 산업단지 입지심의회에서 물량 공급을 받았고, 지난 7월 국토교통부에 산업단지 지정 계획을 신청했다.
사업자 측은 해당 산단을 2030년 준공한다는 목표로 제시했으나, 시는 반도체 기업 수요를 고려해 착공과 준공 시기를 앞당길 방침이다.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첫 번째 팹 설치 공사를 지난 2월 24일 착공했고,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보상 절차를 진행하면서 다수의 소부장 기업이 세계 최대 반도체 생태계를 형성하는 용인으로 속속 진입한다는 판단에서다.
용인엔 이미 세계 5대 반도체 장비업체 가운데 램리서치코리아가 지곡 일반산단에 용인캠퍼스를 완성해 가동 중이고, 도쿄일렉트론코리아는 원삼 일반산단과 제2용인테크노밸리에 부지를 확보하고 R&D센터 신축공사에 들어갔다. 최대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은 용인반도체클러스터 협력화단지 입주를 확정한 상태다.
또 세메스㈜를 비롯해 ㈜주성엔지니어링, 솔브레인(주), ㈜원익IPS, ㈜고영테크놀로지 같은 국내 굴지의 반도체 소부장 기업 90여 사가 이미 진입했거나 진입을 확정했다.
용인시엔 8월 현재 21개 일반산업단지를 조성 중인데, 이 가운데 용인테크노밸리·패키징·통삼·농서·한컴을 준공했고, 원삼·지곡·제2용인테크노밸리를 포함해 8곳은 착공했다. 죽능·통삼2를 비롯한 6곳은 사업계획 승인 절차를 밟는 중이다. 또 용인반도체 협력 산단 2곳이 산단 물량을 공급받았거나 지정 계획 신청 단계다.
시 관계자는 "반도체 기업이 속속 진입하면서 처인구와 기흥구 일대에 산단을 조성하려는 기업이 활발하게 움직인다"며 "산단 물량 공급이 쉽지 않은 만큼 용지가 필요한 기업은 시에 문의하길 바란다"고 했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