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CCTV 11만3273대 활용
SNS·포털사이트선 1만621건 차단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최근 2년간 실시간 CCTV 관제를 통해 마약 의심행위 358건을 적발하고 이 중 36명을 검거하도록 연계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유흥가, 대학가, 주택가 등 일상에 파고든 마약범죄를 추적하기 위해 서울 전역의 총 11만3273대의 CCTV를 활용한 결과다.
연도별 의심행위 건수는 2023년 하반기 141건(검거 12건), 2024년 153건(검거 14건), 2025년 상반기에 64건(검거 10건)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초구(111건)와 강남구(63건)에서 각각 집중적으로 발생해 두 지역이 전체의 48.6%인 174건을 차지했다.
![]() |
서초스마트허브센터 [사진=서초구] |
시는 마약류 범죄 24시간 실시간 관제를 위해 CCTV 관제요원 322명을 대상으로 마약 의심 행동을 식별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교육 횟수를 늘려 도시 전역 마약범죄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관제요원들은 판매·투약·2차 범죄로 이어지는 행동을 포착하고 있으며, 경찰과 협력해 도심 속 마약 방어선 역할을 해내고 있다.
시는 마약 유통 방식이 더 은밀해지고 투약 연령대도 낮아지고 있는 만큼 ▲CCTV 관제요원 전문 교육 ▲지능형 CCTV 도입 ▲온라인 유통망 감시 ▲마약범죄 대응에 기여한 요원 표창 등 선제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시는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공간에서도 마약류 범죄에 대한 감시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현재까지 SNS, 포털사이트에서 마약 관련 게시물 1만621건을 적발하고 차단 요청하는 등 최근 유행하는 비대면 방식의 마약 유통 차단에도 적극 나섰다.
차단된 게시물의 51.7%는 유통업자가 SNS를 통해 마약류 구매를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이와 관련, 시는 마약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시민의 적극적인 제보 협조를 당부했다. 수상한 행동이나 의심스러운 상황은 경찰 112에 신고하고, 온라인상 마약류 광고글을 발견하면 전용 제보창구(nodrugs@seoul.go.kr)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
시는 마약 예방 교육부터 치료·재활 지원까지 마약 문제에 대한 전방위 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다. 마약 관련 상담과 치료, 연구, 교육을 제공하는 서울시 마약관리센터(은평병원)를 비롯해 대학가 또래 리더 양성·예방 교육, 마약 근절 캠페인 등도 진행하고 있다.
![]() |
플레이브 영상 캠페인 [사진=VLAST] |
특히 마약류 범죄가 어린 연령층까지 파고드는 상황과 관련, 시는 이들에게 영향력 있는 버츄얼 아이돌 '플레이브'와 함께 '마약에 만약은 없다, 호기심으로라도 절대 시작하면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영상 캠페인을 이날부터 서울 전역에서 전개한다. 캠페인 영상은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진용 보건의료정책과장은 "마약이 사회 전체를 위협하는 문제로 번지고 있는 만큼, 실시간 CCTV 감시와 함께 예방에서 치료·재활까지 체계적인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며 "시민의 적극적인 신고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