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경쟁 입찰 등 관련 사안 우려 해소
경기도 333프로젝트의 농업 지원 효과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는 김동연 도지사가 용인특례시 백암면을 방문해 친환경 부추를 재배하는 농가 현장을 직접 점검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경기도교육청의 경쟁 입찰 및 관련 사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국정 운영의 일환으로, 지사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급식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
13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우리의 아이들을 위한 건강한 먹거리 -친환경 급식 농산물 생산 현장 간담회를 마치고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김 지사는 현장에서 생산자와 학교급식 학부모 모니터단, 영양교사들과 부추 수확 및 포장 작업에 참여하며 해당 농가의 상황을 들었다. 그는 "경기도형 친환경 먹거리 체계는 다음 세대에 남겨야 할 신뢰이자 책임"이라고 밝히며 지난 6일 공동대책위와의 면담 내용을 회상했다.
"교육청의 방침이 보류되었지만, 완전히 철회된 것은 아니기에 우리 아이들의 건강과 미래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함께 하겠다"며, "제가 있는 한 경기도 친환경급식의 후퇴는 없다"고 그는 단언했다.
![]() |
13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용인 백암면에 위치한 친환경 부추 농장을 방문해 생산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부추 재배 농장주 박기현 씨는 "경기도로부터 농민기본소득과 '경기도 농어업 333프로젝트'의 지원을 받고 있다"면서 "이러한 지원이 친환경 농업을 지속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농어업 333프로젝트'는 3년 내 농어업 소득을 30% 증가시키기 위해 농어업인 310명에게 맞춤 지원하는 정책이다. 경기도는 이들에게 2026년까지 총 90억 원을 투자, 경영 분석, 맞춤형 컨설팅, 교육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 |
13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용인 백암면에 위치한 친환경 부추 농장을 방문해 생산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간담회에서는 친환경 학교 급식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 공공조달체계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는 경기도운동본부, 경기도학교급식지원센터협의회, 정치하는엄마들, 전국한우협회 서울인천경기도지회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앞서 6일 임태희 교육감에게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 변경의 보류를 요청했으며 다음 날 규탄대회에 참여해 공동대책위에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임 교육감은 이에 따라 해당 조치를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현재 3561개 친환경 학교급식 공급학교에 도내 친환경·G마크 인증 농산물 등을 우선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친환경 농산물 공급량은 98%에 달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친환경 농산물로 구성돼 있다.
![]() |
13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우리의 아이들을 위한 건강한 먹거리 -친환경 급식 농산물 생산 현장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경기도는 향후 교육청, 시민단체 및 도의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친환경 급식체계의 공공성과 지속 가능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