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 기반 UX로 비사용자 유입 유도, 낙수 효과 기대
"AI 사용성·수용도 달라...협업 서비스는 상호보완적"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오픈AI와 공동 개발 중인 AI 서비스에 대해 기존 챗GPT 서비스와의 중복 우려보다 이용자 확장을 통한 시너지 창출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용자별 수용도와 사용 패턴에 맞춘 서비스 다변화 전략이 핵심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열린 2025년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오픈AI와 공동 개발 중인 AI 서비스가 기존 챗GPT 별도 서비스와 이용자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오히려 서로 다른 이용자층을 타깃으로 하면서 전체 사용자의 외연을 넓히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모바일에서 가볍게 정보를 검색하려는 이용자, 웹에서 복잡한 리서치를 목적으로 하는 이용자처럼 AI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도는 매우 다양하다"며 "단일 서비스로는 전 국민 대상 대중화를 달성하기 어려운 만큼, 다양한 채널과 접점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사진은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지난 2월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카카오는 이번 협업을 통해 챗GPT 사용자층과는 또 다른 카카오톡 기반 사용자층을 겨냥한다. 친구와의 채팅 도중 검색 결과를 공유받거나, 카카오톡 핵심 지면에서 AI 기능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비사용자 유입을 촉진할 계획이다.
정 대표는 "AI 서비스 경험이 없는 이용자들이 자연스럽게 AI에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고 있다"며 "하루 수십 회 접속하는 카카오톡 지면에 AI가 노출됨으로써 '낙수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기존 챗GPT처럼 일부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면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이용자 행동을 AI 중심으로 습관화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AI 생태계 전반의 이용자 기반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정 대표는 "기존 챗GPT와 카카오의 공동 서비스는 경쟁이 아닌 상호 보완 관계로 작동할 것"이라며 "AI 사용성 확보와 수용도 확장을 통해 사용자 접점을 넓혀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