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음성·영상 결합한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국민 체험형 AI 서비스·AI 에이전트 생태계 구축
해외 수출 경험 바탕으로 K-AI 글로벌 확산 추진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클라우드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5개 주관 사업자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네이버클라우드를 비롯해 영상 멀티모달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 KAIST·서울대·포항공대·고려대·한양대 등 국내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AI 기술 개발부터 서비스 구현까지 전 과정을 자체 기술로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AI 풀스택'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초거대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인프라, AI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서비스까지 직접 구축·운영하며 실제 대규모 서비스 적용 경험을 축적해왔다.
![]() |
네이버클라우드 로고. [사진=네이버클라우드] |
이번 사업에서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사의 언어·음성 기반 멀티모달 기술과 트웰브랩스의 영상 AI 기술을 결합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 이해·생성하는 '옴니(Omn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산업·공공 분야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도 적용 가능한 완성형 멀티모달 AI 모델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컨소시엄은 이 모델을 바탕으로 전 국민이 쉽게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해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개발·등록·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별 특화 모델과 솔루션의 상용화도 함께 추진된다.
아울러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일본 등에서의 소버린 AI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K-AI의 글로벌 수출 모델을 정립하고, 경량·추론 특화 AI 모델의 오픈소스 공개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의 확산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 기술총괄은 "AI는 단순한 개발을 넘어 서비스와 산업 현장에서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외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국가대표 AI 모델을 구현하고, 글로벌 무대에서도 통용되는 K-AI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