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목소리 낼 경우 당정 불협화음 불가피
대야 강경 일변도는 지지율 하락 등 與 부담
정, 이 대통령과 호흡 맞추며 연임 노릴 듯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새 여당 사령탑에 오른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전한 두 가지 메시지가 관심을 모은다. '원팀'과 '효능감'이다. 이 메시지는 단순한 덕담을 넘어 상당한 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2일 정 대표에게 당선 축하 전화를 해 '원팀'과 '효능감'을 주문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원팀 정신을 당부하며 국민에게 효능감을 보여 드릴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정 대표는 "당과 정부가 역할 분담을 잘해 나가며 최대한 신속하게 민생을 위한 개혁 입법을 처리하겠다"고 화답했다.
![]() |
[고양=뉴스핌] 윤창빈 기자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신임 당대표가 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차 임시전국당원대회에서 당기를 흔들고 있다. 2025.08.02 pangbin@newspim.com |
이 대통령이 당부한 원팀과 효능감은 당정이 하나가 돼 개혁을 완성하는 성과를 내자는 원론적인 덕담이다. 역대 대통령이 여당 전당대회 후 새 대표에게 전한 통상적인 메시지다. 원팀은 이 대통령이 줄곧 강조해 온 화두이기도 하다.
새로울 게 없지만 이번에는 조금 성격이 다르다. 이 대통령이 대표 경선 과정에서 중립을 지켰지만 내심 강성인 정 대표보다는 대선 과정에서 찰떡 호흡을 맞춰 온 박찬대 의원을 선호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대통령은 통상 원활한 당정 관계를 위해 강경파보다는 온건파를 선호할 수 있다.
이 대통령이 박 의원을 내심 응원한다는 이른바 '명심(이 대통령 마음)설'이 나온 배경이다. 경선 초반 당 주변에서는 명심설이 파다했다. 박 의원이 더 많은 의원의 지지를 받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조직력과 직결된 대의원 표에서 박 의원이 앞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경선 막판 당심(당원의 마음) 대 의심(의원의 마음) 논란이 불거진 것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결국 정 대표는 강성 지지층의 지지로 경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명심 논란을 당심으로 돌파한 것이다. 이 대통령의 메시지는 이런 복잡한 정치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이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한 정치적 해석이 나온 배경이다.
우선 원팀은 정 대표의 독자 행보를 경계하는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온다. 정 대표는 강한 여당 대표를 표방했고 강성 당원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자신을 밀어 준 강성 지지층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정 대표가 이들을 의식해 강경한 독자 목소리를 낸다면 당정 간 불협화음이 표출될 수 있다. 원팀은 이를 경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효능감은 성과를 의미한다. 성과는 지지율과 직결된다. 이 대통령이 경선 뒤 이를 주문한 것은 정 대표의 강성 일변도를 지적한 것일 수 있다는 해석이다. 정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초강경 입장을 밝혔다. 야당과의 협치를 아예 배제했다. "내란 정당은 정치 파트너가 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사과를 요구했지만 국민의힘이 이에 응할 리 없다. 결국 야당을 겨냥해 초강경 드라이브를 예고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야당과의 협치를 강조하고 있다. 취임 후 몇 차례 여야 지도부와 회동을 가졌다. 조각 인사에서도 야당의 주장을 일부 수용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가 대표적 사례다. 입법, 사법, 행정 등 3권을 장악한 여권이 독주하는 인상을 파하기 위해서였다. 오만과 독주가 자칫 역풍을 부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야당은 존재감이 없다. 무력하다. 국민의힘이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 이 대통령이 마음만 먹으면 거의 모든 걸 할 수 있다. 이 대통령이 이를 모르는 바가 아니다. 낮은 자세로 국민 여론을 살피는 행보로 높은 지지율을 유지해 국정 동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다.
이런 마당에 정 대표가 초강경 일변도의 행보를 보일 경우 여권 전체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쳐 국정 운영의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 대통령이 효능감이라는 말로 이를 경계한 것이다. 강성 지지층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야당과 협치하는 모양새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 대통령 스스로 실천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라는 주문이다.
정 대표는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서 낙마한 강선우 의원에 대해 당선 직후 페이스북에 "강 의원과 통화했다. 많은 위로를 해줬고 당대표로서 힘이 돼 드리겠다고 약속했다. 강 의원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겠다"고 적었다. 강성 당원의 지지를 받았지만 당장 "국민과 싸우겠다는 것"이라는 야당의 비판이 나왔다.
결국 정 대표가 어떤 행보를 보이느냐에 따라 당정 관계의 그림이 달라질 수 있다. 정 대표가 이 대통령의 스탠스에 전적으로 보조를 맞춘다면 원팀이 가능하겠지만, 정 대표가 자신을 밀어 준 강성 지지층을 의식해 강경한 독자 목소리를 낸다면 갈등이 빚어질 수도 있다.
정 대표는 일단 이 대통령과의 공조에 무게를 실을 가능성이 높다. 어차피 이번 대표는 잔여 임기가 1년밖에 안 된다. 지금 분위기라면 내년 6월 지방 선거 압승이 예상된다. 그 여세를 몰아 대표 연임에 도전하려 할 것이다. 차기 총선을 진두지휘하고 싶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60% 안팎의 지지율을 보이는 이 대통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게 절대 유리하다는 점을 정 대표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굳이 독자 행보로 이 대통령과 멀어질 이유가 없다. 따라서 정 대표는 적어도 내년 지방선거까지는 이 대통령과 적극 공조하는 모양새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독자 행보는 내년 8월 대표 선거까지는 유예할 가능성이 높다. 당분간은 당정 원팀에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된다.
leej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