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시가 서구 관저동에서 발생한 모자 사망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 '복지사각지대 해소 위한 위기관리 강화대책'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에 나섰다.
31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긴급복지 지원 이후 사후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위기 상황이 방치된 사례로 시는 복지위기 발굴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고 적극 행정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 |
고령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4.03.29 plum@newspim.com |
이번 대책의 핵심은 초기 상담 강화를 통한 고위험군 조기 선별이다. 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상담 시 '위기상황 판단 체크리스트'와 '고립·은둔 조사표'를 활용해 위험도를 수치화하고, 실무자 상담 이후 팀장이 이를 다시 점검하는 '더블체크 시스템'을 도입해 대응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대전시는 공공의 손길이 닿기 어려운 위기 상황을 민간 접점에서 발굴하고자 공인중개사, 아파트 관리사무소, 배달 기사 등 생활밀착 업종 종사자들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한다. 이들은 관리비 체납, 장기 부재, 고립 신호 등의 정보를 토대로 복지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견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아울러 우정청, 경찰청, 한국전력공사, 신용회복위원회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접수된 위기정보는 동 복지담당공무원을 통해 신속히 통합사례관리로 연계될 예정이다.
복지위기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는 '복지위기알림서비스' 앱 가입도 적극 확대하고 있다. 명예사회복지공무원과 신고 의무자를 중심으로 홍보를 강화해 시민 누구나 손쉽게 위기 징후를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오는 9월까지 앱 활용 실적이 우수한 동에는 연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컨퍼런스를 통해 포상할 계획이다.
김종민 대전시 복지국장은 "한 사람의 위기도 놓치지 않도록 민관이 함께 복지안전망을 강화하겠다"며 "앞으로도 사람 중심의 복지행정을 실현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이번 대책과 연계해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서구, 동구, 중구, 유성구, 대덕구 순으로 동 복지 공무원을 대상으로 신용회복위원회 대전충청지역본부 이용호 수석을 초빙해 '채무위기 대응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했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