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파키스탄 관계, 美·印 관계 발전 저해할 수 있어"
"美에 대한 불만, 美·中 관계 불확실성이 印의 對中 입장 선회 유도"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키스탄 군 수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한 것에 대해 인도가 비공식 채널을 통해 항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21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인도 정부 고위 관리를 인용, 인도가 미국에 아심 무니르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을 환대한 것은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는 뜻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18일 트럼프 대통령은 파키스탄의 '실세'로 여겨지는 무니르 참모총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오찬 회동을 가졌다. 고위 관리의 동행 없이 파키스탄 군대 수장이 백악관에 초대된 것은 처음이다.
이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실과 인도 국가안보보좌관실 관계자들은 미국 측 담당자들에게 각각 전화를 걸어 항의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익명을 원한 소식통은 "우리는 국경 간 테러리즘에 대한 입장을 미국에 전달했다. 이는 인도에 있어 '레드라인'"이라며 "지금은 어려운 시기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의 우려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미·인) 양국 관계에 약간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가 파키스탄이 국경 지역 테러리즘의 배후라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 파키스탄 군부 수장을 우호적으로 대한 데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복수의 관계자들은 "미국과 인도 간 관계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민감한 문제가 생겼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인도 정부 관계자들과 인도 산업계 로비스트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모디 총리가 과거에는 공개적으로 친밀감을 보였지만 최근 두 사람 관계에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인도가 미국에 대해 다소 강경해진 입장을 취하면서 무역 협상도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주장이다.
모디 총리가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이후 워싱턴을 방문해달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초대를 거절한 것, 이달 초 인도가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통보한 것 등 모두 양국 정상 관계가 미묘해진 가운데 무역 협상이 순조롭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관측통들은 해석한다.
워싱턴 윌슨 센터 남아시아 연구소의 마이클 쿠겔만 소장은 "미국이 파키스탄과 교류하는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의 최근 갈등 이후 인도의 우려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듯한 미국의 태도는 양국 간 갈등을 조장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며 "현재 우려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성이 무역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더 광범위한 긴장을 촉발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사진=바이두(百度)] |
미국이 친파키스탄적 행보를 보이면서 인도 또한 중국과의 관계 재정립에 나섰다는 관측도 나온다.
인도 싱크탱크 옵저버 연구 재단의 하쉬 팬트 외교 정책 책임자는 "인도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트럼프 대통령에 대처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방어 수단으로 중국과의 관계를 재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도는 중국에 접근하고 있다. 그것은 상호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중국 또한 (인도에) 접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인도 외교부 장관이 이달 중순 중국 베이징을 방문했다. 2020년 인도 군과 중국 군이 국경에서 충돌하며 양국 관계가 경색된 이후 5년 만이다.
인도 정부는 또한 중국의 대인도 투자 규제 완화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인도와 중국 관계의) 해빙은 양국 간의 까다로운 관계, 그리고 중국이 파키스탄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며 "인도는 미중 관계가 화해에서 대립까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음에 우려하고 있다. 이것이 중국에 대한 입장을 바꾸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