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2건 42억원 규모 산학협력 과제 수행
![]() |
인천글로벌캠퍼스 전경 [사진=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
[인천=뉴스핌] 홍재경 기자 =인천 송도국제도시 내 인천글로벌캠퍼스(Incheon Global Campus). 2012년 정부와 인천시가 공동으로 송도 첨단 클러스터단지(5,7공구) 내 조성한 교육시설인 이 곳은 국내 최초의 외국대학 공동 캠퍼스이다.
조성 첫해인 2012년 뉴욕주립대학교의 스토니브룩대(SBU)를 시작으로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겐트대학교, 유타대학교, 뉴욕주립대 패션기술대(FIT) 등 외국의 유명 대학 5곳이 이 곳에 문을 열었다.
2021년 6월에는 연구 중심의 스탠퍼드대학교 부설연구소인 스탠퍼드센터가 개소했다. 축구장 42개 크기인 29만5000㎡의 부지에 조성된 인천글로벌캠퍼스에는 각 대학별 강의동 외에 공동으로 사용하는 대강당과 기숙사, 게스트하우스가 마련돼 있다.
이 곳 대학에 다니는 40여개국 4200여명의 학생들은 글로벌한 교육환경에서 교류·소통하면서 새로운 미래를 이끌어 갈 능력을 키우고 있다.
인천글로벌캠퍼스에 자리를 잡은 외국대학들은 지금 학생 중심의 교육 뿐만 아니라 글로벌 네트워크와 우수한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산학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들 외국대학들은 국내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2020년부터 산업통산자원부와 인천시의 지원을 받아 대학별로 산학협력단을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인천글로벌캠퍼스 내 외국대학들은 본교의 역량과 인프라를 활용해 국제공동 R&D 과제 기획과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지역 사회 상생 기여 등과 같이 국내외 산업 및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 이들 외국대학들이 수행한 산학협력 과제는 모두 52건에 42억 원 규모에 이른다.
![]() |
인천글로벌캠퍼스 산학협력 커넥트위크 [사진=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
한국뉴욕주립대의 SBU와 FIT는 인텔(Intel) 미 국방부(DARPA) 등과의 협업으로 뉴로모픽 컴퓨팅과 AI(인공지능), 패션 분야에서 모두 13건의 국제협력 R&D 과제를 수행했다. 또 '가족기업제도'를 통해 지역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했다.
겐트대학교는 '식품·환경 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벨기에 카카오랩 및 한양대 ERICA 캠퍼스와 협력해 '김 초콜릿' 상품을 개발했다. 또 충북 증평군과 지역 맞춤형 스마트팜 프로젝트를 진행해 작물 분석, 시설 계획,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성과를 냈다.
유타대학교는 본교 의료혁신센터와 연계하여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 중이며 미국 유타주 정부의 자금 투자 유치를 이끌어 냈다. 유타대의 컨설팅 도움을 받은 국내 기업 '메디셀'은 미국 FDA 승인 신청 절차를 진행 중이다.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는 '분쟁해결·안보·게임' 분야를 주력으로 한 한국기능성게임센터(KSGI)를 설립했으며 미 공군연구소(AFOSR)와 함께 '로봇의 신뢰와 영향력' 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갈등해결 아카데미 및 국제안보 심포지엄 등 학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스탠포드연구센터는 현대자동차, 네이버, 카이스트, 연세대 등과 함께 '모빌리티·스마트시티·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 분야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국내 자동차 산업 발전을 돕고 있다.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은 외국대학의 산학협력사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국시비로 보조금 30억 원을 확보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병근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대표는 "국가 간 경계가 희미해진 지금, 글로벌 산학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면서 "인천글로벌캠퍼스를 통해 국내 산업과 교육·연구 시스템이 발전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hjk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