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고용 유발 효과 5만 4,000명…3년 누적 51.4조 원 생산 효과
기부·임팩트 커머스·이모티콘 생태계 등 다방면 사회 기여
올해부터 11개 사, 10대 분야 기준으로 기여 성과 구분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작년 한 해 동안 카카오 그룹이 직·간접적으로 창출한 경제적 성과가 생산 유발 효과 19조 1,000억 원, 부가 가치 유발 효과 9조 1,000억 원, 고용 유발 효과 5만 4,000명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공개로, 경제학계 전문가들의 자문 및 감수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했다.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를 시작으로 콘텐츠, 금융, 모빌리티 등으로 디지털 생태계를 확장해왔으며, 최근 3년간 누적 생산 유발 효과는 51조 4,000억 원, 부가 가치 유발 효과 24조 5,000억 원, 고용 유발 효과는 약 14만 5,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사회경제적 가치도 122개 지표로 정리해 종합 발표했다. 지난해 10개 사 60개 지표에서 11개 사 122개 지표로 범위를 확대했으며, ▲이용자 ▲파트너 ▲사회 등 이해 관계자별 기여 가치를 기준으로 10개 분야로 구분했다.
![]() |
[자료=카카오] |
주요 성과로는 카카오같이가치의 누적 기부금 936억 원, 임팩트 커머스 카카오메이커스를 통한 농축수산물 유통 6,859톤, '새가버치' 프로젝트로의 물건 재활용 912만 개 등이 포함됐다. 또한, 이모티콘 누적 발신 건수는 2,800억 건, 출시된 이모티콘 수는 70만 개에 달했다.
10대 분야에는 ▲일상 편의 ▲사회 안전망 ▲환경 대응 ▲건강 관리 ▲소상공인 성장 ▲디지털 전환 ▲소프트파워 생태계 ▲스타트업 육성 ▲이용자 부담 완화 ▲경제 격차 해소 등이 포함됐다.
권대열 카카오 CA협의체 ESG 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10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카카오만의 유익한 소셜 임팩트를 확대해 나가겠다"며 "사회와 파트너들과의 협력도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발표 내용은 카카오 기업 사이트와 정책산업연구 브런치를 통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dconnect@newspim.com